(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2일 오전 8시40분부터 전국 85개 시험지구 1천212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수험생들의 이동 편의를 돕기 위해 이날 관공서와 기업체 출근 시간은 오전 9시에서 10시로 1시간 늦춰졌고, 수도권 전철과 지하철은 러시아워 운행시간이 2시간 연장됐다.
시내버스도 수험생 등교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배차됐다. 시험장 근처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시험장 200m 전방부터는 차량 출입이 통제됐다.
3교시 영어 듣기평가가 이뤄지는 오후 1시10분부터 35분까지 25분간은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된다. 버스, 열차 등도 시험장 주변에서 서행 운행하고 경적 사용도 자제해야 한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이 끝난 뒤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고 이달 23일 최종 정답을 발표할 예정이다. 성적통지표는 다음달 2일까지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한편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출제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난이도에 대해 지난 6월과 9월에
치러진 모의평가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과정에서 수험생들의 모의평가 대비 수능 학습 준비 향상 정도를 고려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A·B형의 수준별 시험인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는 출제 과목의 교육과정 수준에 맞추고자 했다"며 "선택과목 간에 응시 집단의 수준과 규모가 유동적인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는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문제를 완화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만점자 비율은 고려하지 않았다.
이 위원장은 "만점자 비율은 출제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았다"며 "만점자 비율과 1등급 컷 등 최상위권에만 초점을 맞춰서 난이도를 언급하거나 평가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연계대상은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발간된 교재 중 평가원이 감수한 교재 및 이를 이용해 강의한 내용이다. 연계방식은 영역·과목별 특성에 따라 개념이나 원리, 지문이나 자료, 핵심 제재나 논지 등을 활용하는 방법과 문항을 변형 또는 재구성하는 방법 등이 사용됐다.
특히 대의파악과 세부정보를 묻는 연계 문항의 경우에는 EBS 교재의 지문을 그대로 활용하지 않고 EBS와 주제·소재·요지가 유사한 다른 지문 등을 활용하되, 단어·문장 등이 쉬운 지문을 출제하는 방법을 활용해 연계했다.

이어 "문항 오류 재발방지를 위한 출제업무에 만전을 기했다"며 "수능에 대한 신뢰성이 회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민찬홍 검토위원장(한양대 정책학과 교수)은 "검토위원의 숫자를 늘리고 검토일정을 길게 해서 검토위원들이 검토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며 "문항점검위원회라는 단계를 만들어 출제와 검토과정에서 논란이 되는 문항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관리했다. 상당수의 문항들이 다루어졌다"고 말했다.

한편 민 위원장은 문항들의 변별력과 관련, "예상 정답률 20~30% 정도 되는 난이도를 문항이 2~3문항에서 많게는 4~5문항까지 있었다"며 "당연히 변별도를 고려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