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3.4℃
  • 흐림강릉 21.2℃
  • 흐림서울 23.9℃
  • 대전 23.2℃
  • 대구 23.8℃
  • 울산 23.6℃
  • 광주 24.0℃
  • 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4.3℃
  • 흐림제주 28.1℃
  • 구름많음강화 23.5℃
  • 흐림보은 22.5℃
  • 흐림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5℃
  • 흐림거제 23.3℃
기상청 제공

사회

민중적 서정시 '농무', '가난한 사랑노래' 등의 신경림 시인 22일 별세…향년 88세

서울 서울대병원장례식장 2호실 빈소 마련…25일 대한민국 문인장 예정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시집 '농무', '가난한 사랑노래' 등으로 민초들의 굴곡진 삶을 노래한 문단의 원로 신경림 시인이 22일 오전 8시 17분께 8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유족과 문단에 따르면 암으로 투병하던 신경림시인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숨을 거뒀다.

1936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충주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동국대학교 재학 중이던 1956년 '문학예술'지에 '갈대', '묘비' 등의 작품이 추천돼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1973년에 농민들의 한과 고뇌를 담은 첫 시집 '농무'를 펴냈다.

고인은 이후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새재'(1979), '달 넘세'(1985), '민요기행 1'(1985), '남한강'(1987), '가난한 사랑노래'(1988), '민요기행 2'(1989), '길'(1990), '갈대'(1996),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9), '낙타'(2008), '사진관집 이층'(2014) 등의 시집을 써냈다.

'한국 현대시의 이해'(1981), '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1983),'우리 시의 이해'(1986) 등의 시론·평론집도 내놨다.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달린 가설 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꽹과리를 앞장세워 장거리로 나서면/ 따라붙어 악을 쓰는 쪼무래기들뿐/ 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벼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 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 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 이까짓/ 산구석에 처박혀 발버둥친들 무엇하랴/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거나/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거나"(신경림 시인의 시 '농무' 전문)

농촌의 절망적인 현실을 사실적이고 극적으로 묘사한 작품으로 이 시에 등장하는 '농무'라는 놀이는 즐거움으로 충만한 것이 아니라, 농민들의 한풀이성격을 띠고 있다.

공연이 끝난 뒤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가는 그들이 삶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은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에서 드러난다.

그들은 허탈감 원통함, 울분 등의 감정을 안고 도수장까지 이르게 되는데 그들이 지닌 한의 정서는 '신명'으로 전환된다.

그거나 여기에서의 '신명'은 분노를 삭이면서 형성된 역설적인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겉으로는 흥겨운 축제의 모습을 그리고 있지만, 이 시는 당대의 사회적 현실을 문학적인 방식으로 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시 '농무'처럼 고인은 민초들의 슬픔과 한, 굴곡진 삶의 풍경과 애환을 질박하고 친근한 생활 언어로 노래해온 '민중적 서정시인'이었다.

고인은 1970~1980년대 군부독재에 맞서 문단 자유 실천운동에 참여해 '민중 시인'으로 불렸고, 생전에 만해문학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으며,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동국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다.

문인들은 고인과 그의 작품이 한국 현대시와 문단에서 차지하는 높은 위상을 고려해 장례를 한국시인협회, 한국소설가협회,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등 주요 문인단체들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르기로 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병진·병규 씨와 딸 옥진 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시 종로구 서울대병원장례식장 2호실. 발인은 25일 오전 5시 30분, 장지는 충북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다.

i2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