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해외 언론인 특별 기고] 파키스탄 'Sindh Courier' 편집장 나시르 아이자즈(Nasir Aijaz), '소원의 돌탑: 신앙 치유와 명상의 독특한 방법'

코로나19 시대에 여전히 살고 있는 지금, 지난 3월 20일부터 마스크를 실내·외에서 모두 벗게 되었지만, 여전히 마음 한편에는 답답함이 가득하다.

새 소리, 바람 소리뿐인 고즈넉한 분위기의 깊은 산속 사찰에 있노라면 쫓기듯 바쁘기만 했던 일상은 어느덧 먼 이야기가 된다. 정신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 자신을 되돌아보는 자기성찰의 여유도 누릴 수 있다.

언제 가더라도 정갈한 모습으로 반갑게 맞아주는 산사의 모습은 자애롭고 포근한 우리 부모님을 그대로 빼닮았다. 그래서 산사에서 보내는 순간순간이 더 큰 울림으로 다가오는지도 모른다.

강원도 인제군 북면 백담사(百潭寺)로 이어지는 수심교(修心橋) 아래 하천에는 돌탑이 셀 수 없이 세워져 있다. 누구의 작품인지는 모르지만, 장대비가 오면 사라지고, 새롭게 생겨난다. 돌탑을 쌓고, 돌탑이 허물어지고, 또 돌탑을 다시 쌓는 과정이 해마다 무한 반복된다. 어쨌든 산행길이나 절을 찾은 수 많은 이들이 소망을 쌓아 올린 탑이라는 사실은 명확하다.

백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로, 만해 한용운(1879~1944)이 1905년 이곳에서 머리를 깎고 입산수도해 깨달음을 얻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만해는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십현담 주해를 집필하고, 그 유명한 '님의 침묵'이라는 시를 발표했다.

본지는 현재 파키스탄 'Sindh Courier'의 편집장으로 재직 중인 나시르 아이자즈(Nasir Aijaz)가 지난 2008년 겨울, 아시아기자협회(AJA) 대표단 일원으로 강원도 인제의 '백담사'를 방문, 수심교 아래 하천의 수많은 돌탑에 대한 소감을 기고해 와 한글 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한다.

나시르 아이자즈는 파키스탄의 저명 저널리스트이자 언어, 문화, 문학 및 역사에 관한 9권의 책과 수백 편의 기사를 저술한 저자이다. [편집자주]

(서울=미래일보) 나시르 아이자즈(Nasir Aijaz) = 내가 한국을 방문한 2008년의 쌀쌀한 겨울이었다. 한국의 설악산 뒤로 해가 거의 지고 황혼이 사방을 뒤덮고 있었다. 산 전체에 울창한 숲이 펼쳐져 있었고, 꼬불꼬불한 길을 따라 흐르는 시냇물 소리와 유서 깊은 백담사 사찰의 모양과 구조물을 보고 있었다.


나는 작은 자갈 탑을 세우고 개울 바닥에 앉아 있는 몇몇 사람들을 바라보며 고요한 분위기에 매료되어 서 있었다. 나는 돌탑에 호기심이 생겨서 그 사람들에게 다가가 탑처럼 자갈을 쌓아 놓은 의미에 관하여 물었다.

비록 우리는 서로의 언어를 잘 이해하지 못했지만, 보편적인 언어인 몸짓으로 그것이 그들의 소원을 비는 기도의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해주었다. 곧, 그들은 모두 도보로 계곡을 떠났고, 지는 밤의 어둠이 빠르게 그 지역을 덮고 있었다.

강렬한 고요함을 느끼며 혼자 서서 '소망의 돌탑'이라고 부르는 수천 개의 돌탑이 시냇물 바닥에 펼쳐져 있는 것을 바라보았다. 나는 2007년에 백담사를 처음 방문했고, 아시아기자협회(AJA) 대표단을 위해 주임 스님이 주최한 사찰에서 '불교 오찬'을 경험했지만, AJA가 주최한 두 번째 방문에서는 사찰에서 숙박하며 '소망의 돌탑'을 관람할 기회가 있었다.

‘신앙 치유의 독특한 방법’이라는 생각을 하며 나의 조국 파키스탄에서도 수피(신비주의)성자의 사원을 방문하여 신앙 치유를 하려 하는 것이 머릿속에서 떠올랐다. 수피즘은 포용력이 커서 이슬람교도든, 힌두교이든, 다른 종교나 믿음을 가진 사람이든 상관없이 허용한다.

주로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뿐만 아니라 일부 다른 이웃 국가에서 다른 종교를 가진 대다수 사람이 사원(사람들이 경건하다고 '믿는' 사람들의 무덤)을 방문하고 '경건한' 영혼에게 건강을 빈다.

자녀의 출생, 재물, 하느님만이 줄 수 있는 것들을 빈다. 이 사람들은 그들이 정말로 죽은 자들에게 이런 것들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하느님과의 중보자(仲保者)로 본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믿음은 경건한 자들이 살아 있을 때 이 세상에서 잘했기 때문에 이제 그들은 부르짖는 자들을 위해 하느님과 함께 중보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사당을 순례하는 동안 사람들은 나뭇가지에 색깔 있는 실이나 천 조각을 묶고 기도를 드리며, 북을 치면서 신비로운 춤인 다말(Dhamal)에 참여한다. 사당 근처의 한적한 곳에서 몇 시간 동안 명상하는 것도 인도-파키스탄 지역의 신앙 치유의 한 방법이다.

신앙 치유는 영적 및 육체적 치유에 신의 개입을 끌어내는 것으로 설명하는 기도와 몸짓의 의식적인 관행이다. 신자들은 질병과 장애의 치유가 신의 존재와 권능을 자극하는 기도, 또는 기타 의식을 통해 종교적 신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신의 개입에 대한 믿음은 종교적 믿음에서 비롯된다. 믿음이 실명, 청각장애, 암, AIDS, 발달 장애, 정신 장애, 빈혈, 관절염, 티눈, 언어 결함, 다발성 경화증, 피부 발진, 전신 마비 및 다양한 부상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기적적인 회복은 일반적으로 신앙 치유로 분류되는 많은 기술에 기인한다. 여기에는 기도, 종교 성지 방문 또는 단순히 최고의 존재에 대한 강한 믿음이 포함될 수 있다. 신앙 치유는 영적, 초자연적 또는 초자연적 사건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신앙 치유에 대한 믿음은 마술적 사고로 분류될 수 있다.

미국 암 협회는 "이용 가능한 과학적 증거는 신앙 치유가 실제로 신체적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개인적으로 나는 많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영적 만족을 위해 호화로운 도시 생활을 포기하고 신사에서 몇 달을 보낸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불행히도 이 지역 전체에는 순례자의 믿음을 이용하는 가짜 신앙 치료사도 많이 있다는 것을 알기에 나는 항상 그런 곳을 방문하는 것을 피했다. 하지만 사찰은 또 다른 성격을 보여주어서 많은 매력을 느꼈다.

AJA는 2017년 4월 1일 나에게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온 여러 친구와 함께 백담사에서 1박을 주선하면서 세 번째 기회를 주었다. 사찰의 여러 구역을 둘러보고, 강연과 명상을 하고, 스님이 이끄는 촛불 행렬에 참여하여 수심교까지 가는 것 외에도 소원의 돌탑을 보기 위해 하천 바닥으로 이동했다.

백담사로 가는 길에 수심교 양쪽과 아래 계곡에서 소원을 비는 탑의 이색적인 풍경을 만났다. "여름 장마철에 이 탑들은 유실되지만, 더 많은 탑이 솟아오릅니다."라고 여승이 말했다.

"그것들은 백담사 절경의 일부분이다. 수심교에서 바라보는 눈 덮인 설악산은 연꽃 봉오리를 연상시킨다. 석탑은 꽃의 수술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소원을 비는 돌탑은 순수한 마음을 가진 사람만이 볼 수 있다고 한다.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석탑에 부처의 '사리'(인체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사리르. 여기에서는 부처의 유품으로 해석)가 설악산에서 도보로 6시간 거리에 있는데 신도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다.

4월 2일 오전 백담사를 나서며 소원석탑을 다시 바라보며 물질세계에서 벗어나 내면의 영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곳이라는 확신과 감탄을 하였다.

- 번역 : 강병철 시인(정치학 박사)

Wishing Stone Towers: A unique way of faith-healing and meditation

By Nasir Aijaz

It was chilling winter of 2008. The sun had almost set behind the Korea’s Mt. Seoraksan and the dusk had enveloped the entire area – the thick forest spread all over the mountain, the stream flowing down with sounds resembling to musical notes along the curly track and the structures of historic Baekdamsa Temple. I stood mesmerized by the serenity of the ambiance gazing at some people sitting in the bed of stream erecting small towers of pebbles. The curiosity took me close to those people to inquire about placing the pebbles in Pagoda style. Although we didn’t understand each other’s language, but the universal language of signs helped me to know that this was the way of praying for realization of their wishes. Soon, they all left down the valley by foot, as the darkness of falling night was fast covering the area into its arms.

With intense feeling of calmness, I stood there alone looking at thousands of stone towers, locally called as 'Wishing Stone Towers', spread all over the stream bed. I had first visited the Baekdamsa Temple in 2007 and had experienced a 'Buddhist Lunch' at the temple hosted by the Chief Monk for the delegates of Asia Journalists Association (AJA) but the second visit again organized by AJA included a night stay at temple, which provided opportunity to observe 'Wishing Stone Towers'.

'A unique way of faith-healing' I thought, which took me back to my country-Pakistan where the people use to visit shrines of Sufi (Mystic) saints for the same purpose, as the Sufism offers more space to the people – be it a Muslim, Hindu or hailing from any other religion or faith. Majority of people from different religions, mostly in Pakistan, India, Bangladesh and Nepal as well as some other neighboring countries, visit shrines (of those whom people 'believe' were pious) and ask the souls of the 'pious' for health, children, wealth, and things that only God can provide. These people claim that they're really not asking the dead for these things, but using them as intercessors with God. Their belief is that because the pious did well in this world when they were alive, they are now in a position to act as intercessors with God for those who invoke them. During their pilgrimage to the shrines, the people use to tie colored threads or strips of cloth to the tree branches and offer prayers besides taking part in Dhamal, the mystic dance at the drum beating. The hours-long meditation at the secluded places near the shrines is also part of the faith-healing in Indo-Pakistan region.

Faith healing is the ritualistic practice of prayer and gestures that are claimed to elicit divine intervention in spiritual and physical healing. Believers assert that the healing of disease and disability can be brought about by religious faith through prayer and/or other rituals that, according to adherents, stimulate a divine presence and power. Belief in such divine intervention is derived from religious belief.

There have been claims that faith can cure blindness, deafness, cancer, AIDS, developmental disorders, mental disorders, anemia, arthritis, corns, defective speech, multiple sclerosis, skin rashes, total body paralysis, and various injuries. Miraculous recoveries have been attributed to many techniques commonly classified as faith healing. It can involve prayer, a visit to a religious shrine, or simply a strong belief in a supreme being.

Faith healing can be classified as a spiritual, supernatural, or paranormal event, and, in some cases, belief in faith healing can be classified as magical thinking. The American Cancer Society states "available scientific evidence does not support claims that faith healing can actually cure physical ailments."

Personally, I know many of the well-educated people, who spent several months at shrines abandoning their luxurious city life for spiritual satisfaction, but unfortunately, this entire region has also lots of the fake faith-healers who use to exploit the beliefs of pilgrims for their mileage, and for this reason, I always avoided visiting such places. However, the Buddhist temples presented a different character, which attracted me a lot.

The AJA offered me a third opportunity on April 01, 2017 when it arranged a night stay at Baekdamsa Temple along with several other friends from different countries of Middle, South, Central and East Asia. Besides visit to various sections of Temple Complex, holding lectures, meditation session and taking part in candle-light procession, led by a nun, up to Susimgyo Bridge, we were also taken to the stream bed for witnessing the Wishing Stone Towers.

We came across the unique scene of Wishing Stone Towers in the valley beneath and on both sides of Susimgyo Bridge on the way to Baekdamsa Temple. "In rainy season of summer, these towers get washed away, yet more towers spring up," the nun told.

"They are famous part of the landscape of Baekdamsa. The snowy mountain of Seorak, seen from Susimgyo Bridge, reminds you of lotus buds. The stone towers look like stamens," she briefed.

It is said that the wishing stone towers can only be seen by the people with a pure heart. The believers use to come here for erecting the pagoda-shaped stone towers, as Buddha’s ‘sarira’ (Sanskrit language word for Buddha’s remains) are placed at a stone pagoda located at highest point of Seoraksan Mountain, at a distance of six-hour walk, and is the most-visited place for believers.

While leaving the Baekdamsa Temple on the morning of April 02, I gazed again at the Wishing Stone Towers in admiration and conviction that this place offers a lot to get away from the materialist world and achieving inner spiritual satisfaction.

__________________
Nasir Aijaz is a Karachi-based senior journalist and author of nine books and hundreds of articles on language, culture, literature and history.

i24@daum.net

배너
신석정 시인 서거 51주기…부안 가을에 문학인들 모여 '서정의 혼' 기린다
(부안=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그대 앞에 봄이 있다"는 노래처럼, 가을빛으로 물든 부안에 다시 문학의 봄이 찾아온다. 한국 서정시의 거목 신석정 시인의 문학혼을 기리는 '신석정 시인 서거 51주기 추모기념식'과 '2025 대한민국 문학인 어울림한마당'이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부안군 일원에서 펼쳐진다. 이번 행사는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가 주최하고, (사)신석정기념사업회·전북문인협회·석정문학관·석정문학회가 공동 주관한다. 전국 지회·지부 문인 300여 명이 부안에 모여 신석정 시의 세계를 되새기고, 부안의 가을 정취와 함께 문학의 향기를 나눌 예정이다. 행사 첫날인 29일은 문학학술포럼과 세미나, 시화전으로 막을 올린다. 신석정의 대표 시집 <촛불>을 중심으로 서정과 사상의 동일화, 시에 담긴 유토피아적 인식과 생태정신을 다각도로 조명하는 연구발표가 이어진다. 학자와 시인들의 발표 속에서 신석정의 시어는 여전히 오늘을 밝히는 등불임을 확인하게 된다. '석정시 컬로퀴엄'에서는 가족과 제자, 동료들이 기억하는 인간적인 신석정의 모습이 공개된다. 동시에 한국수필예술극단이 준비한 창작 수필극 '못다 부른 牧歌'가 초연되고, 시극과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남인순 의원, "노후 특수의료장비 보험수가 개선 필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보건복지위원회·서울 송파구병)은 29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대한영상의학회,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와 함께 '환자 안전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노후 특수의료장비 보험수가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2000년대 이후 MRI(자기공명영상장치), CT(전산화단층촬영장치), Mammography(유방촬영용장치) 등 고가 특수의료장비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의료영상의 질 관리와 사후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3년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어 장비 품질검사를 통해 저화질 영상 장비 사용을 제한해 왔다. 그러나 현행 건강보험 수가체계는 장비 성능이나 사용 연수를 반영하지 않는 단일 구조다. 이 때문에 장비 노후화로 인한 진단 정확도 저하와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 문제에도 동일한 수가가 적용돼, 의료기관이 신형·고사양 장비를 도입할 유인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노후 특수의료장비 실태 점검 ▲환자 안전 및 의료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수가체계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다. 행사는 남인순 의원의 개회사와 정성은 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