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귀뚜라미, 가을 첫줄'

귀뚜라미, '주변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유일의 곤충'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은 작곡의 영감을 귀뚜라미를 통해 얻기도 했다. '어린이 정경'(1838년)를 비롯한 동요 곡들도 더러 있다. 슈만은 가을이면 귀뚜라미 소리를 들으며 작곡하는 것을 즐겨 했다.

공자는 수많은 곤충 중에 귀뚜라미에 유독 관심이 많았다. 공자는 제자들과 선학의 시를 편집한다. 시경에는 100여 종 곤충이 등장한다. 시경 국풍 132편, 당나라의 노래(唐風)에선 귀뚜라미(蟋蟀)를 소재로 한 시가 있다.

蟋蟀在堂(실솔재당) 귀뚜라미가 마루에 있으니
歲聿其莫(세율기모) 해가 드디어 저물었구나.
今我不樂(금아불락) 이제 우리가 즐거워하지 않으면
日月其除(일월기제) 해와 달은 가버린다.
無已大康(무이태강) 너무 편안하지 아니한가
職思其居(직사기거) 자신의 직책을 생각하여
好樂無荒(호락무황) 좋고 즐거움이 지나치지 않음이
良士瞿瞿(양사구구) 어진 선비가 조심할 내용을 담는다.

풀이하면 귀뚜라미가 처서를 맞아 집안으로 들어오면 한 해가 저문다. 귀뚜라미 소리를 듣고 게으름 피우지 말고 겨울 준비를 하자. 옷깃을 여미며 얌전하게 올바른 마음가짐을 해서 한 해를 잘 마무리하라는 내용이다.

비슷한 교훈에 '귀뚜라미가 울면 게으른 여인네가 놀란다'는 속담이 있다. 겨울을 나기 위해 부지런히 길쌈을 해야 할 여인네가 게으름을 피우다 가을을 알리는 귀뚜라미에 놀라 길쌈을 바삐 시작한다는 이야기다. 귀뚜라미를 한자어로 촉직(促織)이라 한다. 베를 짜는 것(織)을 재촉하라고(促) 우는 곤충이라는 뜻이다.

옛 이나 지금이나 시인들은 귀뚜라미를 시인의 귀뚜라미라 생각했다. 윤동주 시인의 동요 시, '귀뚜라미와 나와'를 보자.

귀뚜라미와 나와
잔디밭에서 이야기했다

귀뜰귀뜰
귀뜰귀뜰

아무에게도 알으켜 주지 말고
우리 둘만 알자고 약속했다

귀뜰귀뜰
귀뜰귀뜰

귀뚜라미와 나와
달 밝은 밤에 이야기했다

- 1938년,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중에서.

시는 천진하게 재미있다. 귀뚜라미가 쓸쓸하게 노래하는 분위기에 맞춰, 아무도 모르게 둘만 약속하자는 듯 속삭임이 들린다. 목사의 외손자로 기독교 가정에서 자란 윤동주 시인의 시편은 기도처럼 침잠(沈潛)하다.

도종환 시인, 나희덕 시인을 비롯한 무릇, 시인들이 귀뚜라미를 주제로 창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음유시인이라는 안치환도 귀뚜라미 소재의 노래를 한다.

귀뚜라미는 지루한 여름철을 끝내고 찬바람의 첫 줄을 알리는 배달부로 생각한다. 아메리칸 인디언들은 귀뚜라미 소리로 주변의 온도를 짐작했다는 기록도 있다. '귀뚜라미는 가난한 자의 온도계'라는 미국 속담도 있다.

귀뚜라미는 단순, 구전이나 전해 내려오는 신비의 곤충에 그치지 않는다. 1897년 미국의 물리학자 아모스 돌베어(Amos Dolbear, 1837~1910)가 한 학술지에 '온도계 귀뚜라미'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우는 횟수로 온도를 측정, 놀라울 만큼 정확하다는 통계를 보였다.

14초 동안 우는 횟수에 40을 더하면 화씨온도가 나온다. 예를 들어 귀뚜라미가 14초 동안 35회 울었다면 화씨온도는 75도이고 이것을 섭씨로 환산하면 24도 정도가 된다는 것이다.

귀뚜라미는 지구상에 나오는 곤충 중에 주변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유일의 곤충이다. 그래서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귀뚜라미는 매미와도 다르게 날개를 비벼서 소리를 낸다.

온도가 높아지면 울음소리의 빈도는 더 높아진다. 귀뚜라미는 인간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온도인 섭씨 24도일 때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 공자를 비롯한 선조들은 귀뚜라미를 가장 영리한 곤충이라 여겼다. 음력 7월이면 어김없이 나타나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가을 전령' 역할을 톡톡히 하기 때문이다.

귀뚜라미 울면 가을 첫 줄도 내려앉는다. 열매들의 가을걷이 노래 부른다. 산 넘어오는 바람이 우릴 헹구면 마른 잎 한 장마다 이별의 노래 부른다. 가을은 귀뚜라미 소리에 전신을 흔들며 붉은 노래 부른다. 차가운 시간에 맞서 내 영혼에 가여운 달빛의 노래를 불러준다.

.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배너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문학인 나무심기 기념문집 제5권 '나무, 나를 철들게 하다' 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산림문학회(이사장 김선길)는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문학인의 환경 실천운동 '문학인 나무심기' 5주년을 기념하여, 제5권 문학기념문집 '나무, 나를 철들게 하다'를 2025년 7월 5일 출간했다. 이 책은 전국 문학인 80명이 숲과 나무, 기후위기, 생태의식을 주제로 창작한 시·시조·수필·동화 등 79편의 작품을 엮은 것으로, 특히 지난 3월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상처 입은 숲에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고, 문학을 통한 산림문화 실천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기획되었다. 이번 문집에는 (사)한국문인협회, (사)국제PEN한국본부, (사)한국현대시인협회, (사)한국소설가협회, (사)한국수필가협회, (사)세계전통시인협회 한국본부, (사)한국아동청소년문학협회 등 총 7개 국내 주요 문학단체의 단체장 및 회원들이 참여하여 문학과 생태가 만나는 집필의 장을 열었다. 수록 장르별로는 시 35편, 시조 12편, 민조시 1편, 수필 30편, 동화 1편 등 총 79편이 수록 되었으며, 김승현 작가의 따뜻한 자연 삽화가 본문의 감성을 더한다. 이들 작품은 단순한 자연 예찬을 넘어, 기후위기 시대에 문학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전국 교수단체 "폐과·면직·노조 탄압 의혹…교육부 연암대 즉각 특별감사해야" (세종=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전국교권수호모임·전국사학민주화교수연대·전국사학민주화교수노동조합(이하 교수단체)은 7일 "연암대학교가 국가재정지원사업을 악용해 교권을 탄압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공동으로 발표한 기자회견문에서 교수단체는 "LG그룹이 설립한 연암대가 학령인구 감소의 명분을 들어, 신입생 충원율 100%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과를 폐과 조치하고, 노동조합 가입 교수들을 대상으로 권고사직을 강요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2022년 4월 황혜정 교수를 유일하게 폐과면직했으며, 이 과정을 법원이 1·2심에서 위법 판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측이 대법원 상고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교수단체는 폐과 대상이 된 외식산업과가 교육부·농림축산식품부 등으로부터 수백억 원의 국고 지원을 받은 특성화 학과였음에도, 정작 환경조경과가 존치된 점을 문제 삼았다. 교수단체는 "대학 스스로 정한 KPI 평가 기준을 무시하고, 여성 교수 중심의 우수 학과를 폐과하는 것은 구조조정 기준을 스스로 훼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농축산 전공 대표인 황 교수만 면직 처리된 반면, 비전공 교수들이 동일 분야로 전환 배치되고 강의 시수가 과도하게 조정됐다"며 "교수노조 가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지사, 서울~양평고속도로 현장서 "경기도, 특검 진상 규명에 선제 협조하겠다" (양평=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 종점지인 양평군 양서면 청계리 54-1번지를 전격 방문했다. 이날 현장 발언에서 김 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일가를 겨냥해 "권력을 탐욕의 도구로 삼은 정황이 명백하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경기도가 향후 김건희 특검에 "선제적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건희 일가 탐욕 위한 권력 도구화, 특검이 명백히 밝혀야"김 지사는 이날 현장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과거에 '선거는 패밀리 비즈니스'라고 한 바 있다"며,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과 관련된 의혹을 거듭 문제 삼았다. 김 지사는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활용한 정황이 너무도 명백하다"며 "누가, 왜,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해 도민과 국민에게 피해를 줬는지를 특검이 반드시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어 "(특검에 의해) 출국금지된 어떤 야당 인사가 야당탄압을 운운하지만, 오히려 김건희 일가가 양평군민을 탄압해 온 셈"이라고 지적하며 "특검은 철저하게 수사해 권력형 비리의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자료 임의 제출 포함 모든 방법으로 특검 협조할 것"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