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위원회는 제30차 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20개 공동체라디오방송 신규허가 대상 사업자 선정을 심의,의결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서대문마을공동체라디오, 연수공동체FM, 세종공동체라디오방송, 와글 사회적협동조합, 연제공동체라디오, 고려인마을, 영월FM공동체라디오, 청암송건호기념사업회, 남해FM공동체라디오방송, 순천미디어네트워크 등 20개 사업자가 동네방송을 시작한다.
2004년 시범 사업이 시작된 지 17년 만에 처음으로 이번에 추가 선정됐다.
공동체라디오는 소규모 지역(시,군,구)을 대상으로 하는 소출력(10W 이하) 라디오 방송이다. 청소년, 노인, 장애인, 이주민 등 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지역의 주민 누구나 참여해 자신의 이야기, 우리 동네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시민들의 미디어활용 능력이 높아지면서 직접 방송제작에 참여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공동체라디오는 이러한 요구에 맞춰 적극적인 의미에서 방송 접근권을 실현할 수 있는 참여와 소통의 미디어 문화에 최적화된 방송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개월 간 기술심사를 진행했으며 국립전파연구원, 중앙전파관리소 등 20여 명으로 구성된 기술심사반과 자문반 운영을 통해 신청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가용 주파수 발굴, 안테나 설치 위치 선정 등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했다.
방통위는 공정하고 엄격한 심사를 위해 청취자 의견청취와 현장실사를 진행하는 한편, 각계 전문가 8인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5일간 심사를 진행했으며, 심사기간 중 신청법인 전체에 대한 대표자와 편성책임자의 의견을 들었다.
심사위원회 심사결과 22개 신청인 중 21개 신청인이 허가 기준 점수인 650점 이상을 획득했으나, 방통위는 두 개의 신청인이 경합한 세종시 지역에는 상위 득점자를 선정하기로 하고, 모두 20개 신청인을 신규 허가 대상 사업자로 의결했다.
전국에 설립될 새로운 공동체라디오방송을 통해 더 많은 청취자들이 좀 더 가깝고 손쉽게 방송제작에 참여할 수 있게 됐을 뿐만 아니라, 공동체라디오는 각 지역에 특화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해 지역소외와 재난 극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체라디오방송 전반에 대한 내용은 방통위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user/KCCwith)에서 오는 23일부터 영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와 방통위는 "이번 신규사업자 선정을 통해 공동체라디오방송이 지역사회 내 소통과 유대를 강화하는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지역 공동체회복과 지역 사회 발전의 촉진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규 공동체라디오 방송사들의 조기 개국과 안정적인 방송운영을 위해 긴밀한 지원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abinkore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