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여성 근로자 기반의 페미니스크 그룹 국회페미는 16일부터 한 달간 국회의 유리천장 타파를 위한 '여자는 보좌관하면 안 되나요?' 캠페인을 전개하면서 지난 1일 기준으로 국회 전체 보좌진 중 38.2%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국회페미가 연속으로 진행하고 있는 ‘일터로서 성평등한 국회 만들기 캠페인’의 일환인 이번 캠페인은 지난 6월 '커피는 여자가 타야 제맛입니까?'에 이은 두 번째 기획이다.

각 의원실은 독립적으로 인사를 진행하며 의원실 별 4급 보좌관 2인, 5급 비서관 2인, 6~9급 및 인턴 각 1인 총 9명의 보좌직 공무원을 고용한다.
보좌직 공무원 최고직위로 각 의원실의 정무 및 운영을 총괄하는 보좌관의 여성 비율이 8.6%로 전체 595명 중 51명이다. 보좌관과 함께 정책 업무를 실무적으로 이끄는 비서관은 19.9%로 전체 602명 중 120명이 여성이다. 이들을 고위직으로 분류한다.
국회페미는 "각 의원실의 최종결정에 영향을 행사하는 보좌관과 비서관의 합계 여성 비율이 14.3%인데 20대 국회의원의 여성 비율인 17%보다 낮은 수치"라며 "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전반이 남성중심적 사고에 치우쳐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4급부터 7급 보좌진까지 남성이 압도적 다수인 데 반해 8급, 9급, 인턴 직급에서만 여성 비율이 과반을 넘는다"며 "3개의 직급을 합쳐 총 507명, 전체 여성 보좌진 869명 중 58.3%가 하급직에 머무르며 방문객 대접, 전화 응대, 집기 관리 등의 잡무를 도맡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페미는 "이중 상당수의 인원이 사무실 회계와 행정 전반을 책임지는 ‘행정비서’ 직무로 일하고 있다"며 "관례적으로 정책 업무 보좌진에 비해 행정 직무 담당자는 승진에 한계가 있다"고 꼬집었다.
국회페미 활동가 A씨는 “국회는 인턴에서 시작해 승급하는 구조인데 현실적으로 여성이 보좌관까지 올라가기 매우 어렵다”며 “인턴 성비는 매년 평균 남녀 반수 수준이나 비슷한 역량과 경험을 가지고도 여성 인턴은 상대적으로 승급 기회가 많지 않고 행정 직무가 강요되기도 한다. 정당하게 자기 능력을 펼칠 기회를 찾아 국회를 떠나는 여성이 많다. 그래서 여성 보좌진 수가 적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 말했다.
또 다른 활동가 B씨도 “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전반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보좌진 조직의 심각한 성불평등 문제는 국민의 절반인 여성을 대표해야 하는 국회의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해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페미는 국회 내 여성 보좌진 기반 페미니스트 그룹으로 1년 전 ‘안희정 성폭력 사건’ 1심 판결이 있던 8월 14일을 기점으로 이틀 뒤인 16일에 결성됐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