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동양방송) 김동희 기자 = 인천지역 어린이 안전사고는 걸음마기(1~3세), 주택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남자아이의 사고발생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한국소비자원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을 통해 수집한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를 집계한 결과, 3년간 인천지역 어린이 안전사고 비율이 전체 안전사고의 58.5%이며,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성별로는 상대적으로 활동량이 많은 남자 어린이가 62.0%로 여자 어린이 38.0%보다 약 1.6배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걸음마기(1~3세)’의 안전사고가 전체의 52.0%로 가장 많았으며, 안전사고 비율이 가정 높은 발달단계는 남자 어린이는 ‘취학기(7~14세)’, 여자 어린이는 ‘영아기(1세 미만)’로 남자 어린이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여자 어린이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고비율이 높았다. 위해발생장소별로는 ‘주택(71.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교육시설(9.6%)’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6.2%)’ ‘도로 및 인도(2.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세 미만의 영아기에
(수원=동양방송) 현은미 기자 = 경기도는 증가하는 어린이 교통사고와 어린이 대상 범죄 예방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과속 무인단속 카메라와 안전CCTV 설치, 어린이 안심통학로 시범사업 등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우선 교통약자인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과속 무인단속 카메라 설치를 추진한다. 경기도는 무인단속 카메라 설치가 법적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어린이 보호구역 내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실정이라 안전한 등하교를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도 차원의 설치를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무인단속카메라는 설치지역 등을 조사하는 연구용역을 거쳐 오는 9월부터 21억원을 들여 50여대를 우선 설치할 방침이다. 무인단속 카메라 설치비용은 대당 약 4,000만원이다. 도에 따르면 도내 어린이보호구역은 2천448개소가 지정돼 있으며 이 가운데 무인단속 카메라가 설치된 곳은 66개소이다. 도 관계자는 “어린이보호구역 주변 교통여건과 환경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용역을 통해 최적 지역을 선정하고, 더불어 어린이 교통사고 개선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이와 함께 올해 47억 원을 투입해 도내 27개 시·군 214개소에 어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