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평화경제협회 평화경제연구회는 정계·학계·관계·언론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국익 중심의 실용주의에 바탕을 둔 외교·안보·통일 정책 대안을 연구하는 정책 싱크탱크이다. 2022년 설립 이후, 진보나 보수라는 정치적 진영의 한계를 넘어 대한민국 국익중심 외교의 근간을 마련하고 실용주의적인 외교·안보·통일 정책 대안을 찾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그동안 개최했던 공개 포럼으로는 ▲전환의 시대, 한반도 평화안보의 새로운 길(2022. 11. 17.), ▲윤석열 정부 1년 외교안보정책 평가와 과제(2023.05.25.),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한반도 평화안보 정책 토론회(2023.11.29.), ▲외교안보통일 정책의 정상화와 22대 국회의 역할(2024.05.29.)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와 동북아 정세(2024.11.20.) 등이 있다.
이번 정책자료집은 지난 3년 동안 이어진 평화경제연구회 연구 세미나의 결과이며, 발표와 토론은 평화경제연구회 소속 전문가들이 진행한다.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통일 정책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급변하는 국제정세 변화 속에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외교안보통일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14일 세미나는 평화경제연구회 소속인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김영배 국회의원과 공동주최로 진행되며, 평화경제연구회 소속의 국회의원들도 참석해 차기 정부 외교·안보·통일 정책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구체적으로 ▲윤석열 정부 정책에 대한 진단과 평가 이후 ▲차기 정부 외교·안보 전략 기조와 국가 비전을 제시한 다음, 차기 정부에서 선택해야 할 ▲글로벌 지역 전략, ▲경제안보, ▲북핵 대응 억제전략, ▲북핵 협상, ▲남북관계 회복과 공동성장, ▲국방개혁에 대한 정책 방향들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조정식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통일 정책은 이념에 치우쳐 국익을 해치는 결과를 낳았다"며 "이제는 국익과 실용을 중심으로 한 외교안보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번 세미나는 차기 정부가 나아가야 할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배 의원은 "트럼프 발(發) 관세 충격과 한반도 평화 위기 등 해결이 시급한 외교·안보·통일 이슈가 산적해 있는 만큼, 이번 세미나는 차기 정부가 해당 이슈들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과 방향성을 풍부하게 제공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