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4.3℃
  • 구름많음강릉 14.2℃
  • 맑음서울 7.6℃
  • 맑음대전 5.6℃
  • 흐림대구 7.8℃
  • 흐림울산 10.7℃
  • 구름많음광주 8.6℃
  • 흐림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14.5℃
  • 맑음강화 3.8℃
  • 맑음보은 2.8℃
  • 구름많음금산 3.5℃
  • 흐림강진군 7.7℃
  • 흐림경주시 7.1℃
  • 흐림거제 10.6℃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성장하는 나무

부모는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나무다

(서울=미래일보) 최현숙 기자 = 주말이나 어린이날이면 아이를 데리고 어린이대공원이나 수족관, 박물관 같은 곳을 가거나 아니면 여행을 가기 위한 짐을 싸던 시절이 있었다. 봄이 오면 계절을 알려주기 위해 동물과 꽃들을 마주 보게 하고, 여름이면 물의 흐름을 알기 위해 수영장이나 펜션을 찾아 며칠 쉬었다 오기도 했으며, 가을이면 겨울 채비를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 될 것 같기에 고민도하고, 겨울이면 가끔은 차가움도 맛보기 위해 바다를 살갗에 대보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 아이가 성인이 되어 가니 함께 하는 시간들이 그리 많지 않은 날들이 되었다.

아이를 낳은 부모라면 어느 집이나 육아시절을 지나왔거나 아니면 지금 한참 중인 부모들도 있을 것이다. 아이가 처음 축복 속에 태어나던 시간 엄마도 처음 해보는 엄마라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고민 속에 육아 시절을 보내왔다. 육아는 아이에게 주는 사랑 외에 온몸이 아이를 대신해야 하는 일이라 고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아이가 울면 울음을 그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을 모두 동원해 무엇이든 하다가 그치지 않으면 함께 울어야 했으며, 대신 아파줄 수 없는 아이의 아픔엔 부모는 속상할 수밖에 없었다. 잠자는 머리맡에 아이의 숨결은 고른지 거친 지 눈은 감았으나 신경은 온통 아이에게 있어 선잠을 자던 시절.

먹이고, 입히고, 기저귀 갈고, 씻기고, 재우고 때론 밥 먹을 시간조차 없어 아이를 둘러업고 꾸역꾸역 먹어야 하던 나의 관절은 찬바람이 지나다니고, 하루 24시간의 몸은 온통 아이의 몸이 되어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만을 기다렸다. 때론 아이에게 주던 짜증은 하루의 반성 끝에 속상해하며 눈물의 밤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그리고 그때만큼은 너무도 느린 시간의 탓도 했었다. 느린 건 시간이 아니라 아이였는데 엄마의 처음 시간들은 그랬다.

그러나 눈물로 틔운 그 시간들 뒤에는 늘 나를 한 계단 높은 곳으로 엄마라는 이름을 올려놓았고 지금도 여전히 계절마다 성장하고 있는 나는 19년째 성장 중인 엄마다. 이 시간들 지나고 보니 이제는 아이가 다 커서 아기적 냄새가 그리워지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것은 시간을 비롯한 일이라 생각하니 나도 어쩔 수 없는 세월을 먹고 있는 일이다.

이렇게 자란 나의 아이는 올해 성인이 되기 위해 주민증을 만들고 가끔은 식탁 위에 군대 이야기를 올려놓곤 한다. 여기에 남편은 자기 군시절 이야기를 들려주며 사회 이야기와 대학 이야기, 그리고 앞으로 아이가 성인이 되어 살아갈 이야기들을 모두 끌어다 늘어놓는다. 그럴 때마다 아이는 연실 고개를 끄덕이며 앞으로 사회에 발을 들여놓고 살아갈 성인의 앞날을 깊이 생각하곤 한다.

아이의 성장은 눈에 보이지 않기에 언제 이 아이가 커서 말을 하고 걸을 것이며 학교는 언제 들어갈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그러나 계절 따라 옷을 입히다 보면 치수가 작아져 그때서야 아이가 성장했음을 알게 된다. 그럴 때마다 아이의 옷과 신발은 한 치수 커지고 이때 엄마라는 이름도 한 뼘 더자라 아이의 몸과 마음에 맞게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와 함께 성장해 가는 나무라고 한다. 때론 지나지 않을 시간일 것 같이 천천히 가는 느린 시간들이지만 아이들의 발걸음이 그렇다. 봄 나무에 어린 생명이 서서히 자라듯 아이들은 그렇게 어린 생명 일수 밖에 없다. 어른의 생각일 수 없고, 어른들이 바라보는 눈일 수 없고, 어른들의 사회와 세상에 아이들이 있을 수 없다. 그 세상을 가기 위해 아이들은 한걸음 한걸음 내딛고 배워 가며 걸어가는 아이들은 아이들 다운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5월은 어린이날을 비롯해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이 들어 있고 꽃 진자리에 푸른 싹들이 돋아나 잎새들은 여름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계절이 푸른날들 처럼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이 더욱 푸르러 지기를 소망한다.

gktkfkd04tkah@daum.net
배너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쏘다 … 제2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어울림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진 '제2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어울림한궁대회'가 지난 11월 8일 서울 노원구 인덕대학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하고 대한한궁협회, 인덕대학교, 서울특별시장애인한궁연맹, 함께하는재단 굿윌스토어, 한문화재단, 현정식품 등이 후원했다. 이번 대회에는 약 250명의 남녀 선수와 심판, 안전요원이 참여해 장애·비장애의 경계를 넘어선 '진정한 어울림의 한궁 축제'를 펼쳤다. 본관 은봉홀과 강의실에서 예선 및 본선 경기가 진행됐으며, 행사장은 연신 환호와 응원으로 가득했다. ■ 개회식, ‘건강·행복·평화’의 화살을 쏘다 식전행사에서는 김경희 외 5인으로 구성된 '우리랑 예술단'의 장구 공연을 시작으로, 가수 이준형의 '오 솔레미오'와 '살아있을 때', 풀피리 예술가 김충근의 '찔레꽃'과 '안동역에서', 소프라노 백현애 교수의 '꽃밭에서'와 '아름다운 나라' 무대가 이어져 화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후 성의순 서울특별시한궁협회 부회장의 개회선언과 국민의례, 한궁가 제창이 진행됐다.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은 대회사에서 "오늘 한궁 대회는 건강과 행복, 평화의 가치를 함께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한약사회, 국회 공감 이끌어 '한약학과 6년제·정원 확대' 가시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가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한약학과 6년제 전환'과 '정원 확대'에 대해 국회와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지난 10월 열린 국회 종합감사에서 교육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모두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한약사 제도 발전의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국회 서면질의 결과, 교육부·복지부 모두 "6년제 전환 필요성 공감" 국회 교육위원회 김대식 의원과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의원은 각각 교육부와 복지부에 ‘지역 거점대학 한약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 ‘한약학과 6년제 전환’ 등과 관련해 서면질의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한약학과 신설 및 입학정원 증원과 관련해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추진해 나가겠다"며 "6년제 전환의 필요성 여부를 함께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복지부 또한 "한약사 실무 및 임상 교육 확대 등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과 한의약 산업·제약 연구개발을 위한 인력 확충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관련 논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교육부와 복지부 모두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대한한약사회가 수년간 추진해온

정치

더보기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사랑상품권 30억 원대 부정유통… 서울시의 관리 부재, 사실상 방치 수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시가 지역 상권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한 '서울사랑상품권'이 30억 원대 불법 환전 등 각종 부정유통에 노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감독 부실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구미경 서울시의회 의원(기획경제위원회, 국민의힘·성동2)은 지난 7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민생노동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사랑상품권의 부정유통 실태가 심각하지만 서울시는 발행에만 치중하고 관리에는 손을 놓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관리 포기 선언'에 다름없다"고 강도 높게 질타했다. 구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적발된 서울사랑상품권 부정유통 건수는 총 157건, 불법 환전 규모만 3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주요 유형은 △웃돈을 요구하는 차별거래(73건) △물품 거래 없이 상품권을 현금화하는 불법환전(15건) △본인 가맹점에서의 자가매출(34건) 등으로, 매년 유사 사례가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취한 행정조치는 6건(총 2,100만 원 과태료)에 불과해, 전체 적발 건수 대비 조치율 3.8%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온누리상품권을 관리하는 중앙정부의 행정조치율(7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