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1시부터 민주노총 산하 산별노조들은 서울 도심에서 사전대회를 진행한 뒤 숭례문 앞에서 모두 결집했다. 오락가락하는 비에도 주최 측 추산 9만여 명의 노동자가 모였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우리의 투쟁이 헛되지 않도록 중단된 정치세력화에 다시 시동을 걸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전국노동자대회는 이태원 참사로 목숨을 잃은 157명 희생자 추모로 포문을 열었다.
전종덕 민주노총 사무총장은 "이태원 참사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공감도, 진정어린 사과도 찾아볼 수 없다"며 "정부가 계속해서 생명을 내팽겨친다면 우리는 윤석열 정권에 레드카드를 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대로 살 수 없다'는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의 외침은 이번 노동자대회의 슬로건이 되었다. 9만여 명의 노동자들은 '이대로 살 수 없다'라고 적힌 손피켓을 들고 '이대로 살 수 없다. 국가가 책임져라', '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이다. 윤석열 정권이 책임져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태원 참사'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대응을 비판하며 정부 심판론을 전면 제기했다.
양 위원장은 "책임을 회피하는 정부가 죽음의 행렬을 만들고 있다"며 "노동자 민중이 죽어가고 있다. 백주대낮에 길에서 시민들이 죽었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이어 "우리의 투쟁이 헛되지 않도록 중단된 정치세력화에 다시 시동을 걸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양 위원장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정원 감축 정책과 민영화도 비판했다.
양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이 추진하는 작은정부는 노동자 민중의 삶을 파탄낸다"며 "윤석열 정권이 추진하는 정책은 노동개악을 넘어 노동말살"이라고 질타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