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목)

  • 구름많음동두천 7.2℃
  • 맑음강릉 11.0℃
  • 구름많음서울 7.6℃
  • 구름조금대전 10.4℃
  • 맑음대구 8.9℃
  • 맑음울산 11.1℃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11.2℃
  • 맑음제주 13.2℃
  • 구름많음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7.3℃
  • 구름조금금산 10.1℃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6℃
  • 맑음거제 10.2℃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4년제 대학 등록금 평균 676만3100원…올해 97%가 동결·인하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평균입학금은 7만 2000원
전문대 등록금 평균 600만 1200원, 입학금 21만 5200원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올해 1학기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의 1인당 평균입학금은 7만 2000원, 1인 연간 평균등록금은 676만 3100원으로 집계됐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 전문대학 133개교에 대한 '2022년 4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지난 29일 발표했다.

총 대학 413개교의 교원 강의 담당 비율, 학생 규모별 강좌 수, 등록금 현황, 학생 성적평가 결과 등의 정보가 공시됐다.

◆ 4년제 일반, 교육대학 194개교…1인당 평균입학금 7만2000원

올해 1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6.1%로 지난해 1학기보다 1.0%p 감소했다. 강사의 강의 담당 비율은 21.4%로  0.4%p 상승했다.

사립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이 67.2%로, 국공립대학 62.7%보다 4.5%p 높았다. 또 비수도권 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이 69.2%로 수도권 대학 61.4%보다 7.8%p 높았다.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8.9%로 지난해 1학기보다 1.3%p 상승했다. 사립대학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9.8%로 국공립대학 36.0%보다 3.8%p 높았고, 비수도권 대학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9.0%로 수도권 대학 38.7%보다 0.3%p 높았다.

2022학년도 등록금은 분석대상 194개교 중 188개교(96.9%)가 동결(180개교) 또는 인하(8개교)했다. 학생 1인이 연간 부담하는 평균등록금은 676만 3100원으로 전년대비 1만 8400원 증가했는데 예체능 및 공학계열 등의 입학정원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계열별 평균등록금은 의학(976만 9500원), 예체능(775만 6400원), 공학(723만 7500원), 자연과학(682만 7400원), 인문사회(594만 8700원) 순이다. 설립 유형별로 사립대학은 752만 3700원, 국·공립대학은 419만 5700원으로 집계됐다. 소재지별로는 수도권 761만 9300원, 비수도권 622만 6800원이었다.

또한 학생 1인이 부담하는 평균입학금은 7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58.6%, 단계적 입학금 폐지를 시작하기 전인 2017년 대비 88.7% 감소했다. 국공립대학 39개교는 2018학년도에 입학금을 전면 폐지했다. 사립대학 155개교 중 58.4%인 90개교는 올해부터 입학금을 폐지해 평균입학금이 9만 3800원으로 전년 대비 58.3% 감소했다.

아울러 지난해 과목별 B학점 이상을 취득한 재학생 비율은 83.4%로 2020년(87.5%)보다 4.1%p 감소했다. 환산점수 80점 이상을 취득한 졸업생(2021년 8월, 2022년 2월 졸업) 비율은 93.6%로 전년(91.8%)보다 1.8%p 상승했다.

◆ 전문대학 133개교…1인당 평균입학금 21만 5200원

올해 1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50.2%로 전년 1학기(50.4%)보다 0.2%p 하락했다. 사립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50.5%로 국공립 대학(37.3%)보다 13.2%p 높았고, 수도권 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50.6%로 비수도권 대학(49.8%)보다 0.8%p 높았다.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5.5%로 전년 1학기(33.3%)보다 2.2%p 상승했다. 국공립대학의 소규모 강좌비율이 53.7%로 사립대학(35.1%)보다 18.6%p 높았고, 비수도권 대학의 소규모 강좌비율이 36.9%로 수도권 대학(33.7%)보다 3.2%p 높았다.

등록금은 분석대상 133개교 중 118개교(88.7%)가 동결(112개교) 또는 인하(6개교)했다. 학생 1인이 연간 부담하는 평균등록금은 600만 1200원으로 전년 대비 2만 7100원 증가했다.

계열별 평균등록금은 예체능 657만 1700원, 공학 614만 6600원, 자연과학 609만 4600원, 인문사회 541만 2200원 순이다. 설립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립 606만 8600원,국공립 236만 8400원이었다. 소재지별로는 수도권 639만 5900원,비수도권은 569만 8100원이다.

아울러 학생 1인이 부담하는 평균입학금은 21만 5200원으로 전년 대비 28.6%, 단계적 입학금 폐지를 시작하기 전인 2017년 대비 67.1% 감소했다. 국공립대학 8개교는 2018학년도에 입학금을 전면 폐지했고, 사립대학 125개교는 21만 9900원으로 전년 대비 28.5% 감소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과목별 B학점 이상을 취득한 재학생 비율은 78.9%로 전년보다 3.5%p 하락했다. 환산점수 80점 이상을 취득한 졸업생(2021년 8월, 2022년 2월 졸업) 비율은 86.8%로 전년보다 1.0%p 상승했다.

대학별 세부적인 공시자료는 대학알리미 누리집(www.academyinfo.go.kr)에 확인할 수 있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전국재해구호협회-공무원연금공단, 재해 현장 구호활동 연계 협약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공무원연금공단(이사장 김동극)과 재해 현장 구호활동 연계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서울 마포구 전국재해구호협회 사무처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전국재해구호협회 송필호 회장과 신승근 부회장, 공무원연금공단 김동극 이사장과 강광식 고객만족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재난대응과 자원봉사 활동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재난 시 물적·인적 지원을 포함한 구호 활동에 힘을 모으고, 효과적인 위기 대응을 위한 운영 체계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이동극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은 "재해현장에서 여러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재난에 대응하는 사회안전망 구축에 오랜 공직 경험과 사명감이 있는 퇴직공무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송필호 전국재해구호협회 회장은 "재난이 발생하면 신속한 구호로 후속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며 "재해 구호 활동에 동참해 주신 공무원연금공단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는 1961년 전국의

정치

더보기
박정훈 의원, 서울시교육감 만나 '잠실4동 중학교 신설' 촉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송파갑)은 11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을 만나 '잠실4동 중학교 신설'을 촉구했다. 잠실4동에 거주하는 학생은 중학교가 없어 인근 학교로 분산배치 됐다. 이에 통학 여건을 개선하고, 과밀학급을 해소하기 위한 주민들의 요구가 꾸준히 있었다. 그러나 학교 설립은 지역단위가 아닌 학군 단위로 설립하게 돼 있어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번번이 무산됐다. 박 의원은 이러한 지역 주민의 염원을 해결하고자 지난 총선 공약으로 활용이 저조한 서울책보고 부지에 소규모 학교인 '잠실중학교 제2캠퍼스(도시형캠퍼스)'를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정 교육감과의 면담도 그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박 의원은 정 교육감에게 "진주·미성·크로바아파트의 재건축로 2030년에는 중학생 1,104명이 증가하게 된다"라며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반드시 잠실4동에 중학교 신설이 필요하다"라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정 교육감은 "진행 중인 용역 결과가 나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 추진하겠다"라고 화답했다. 박 의원은 '학교 이전·재배치 촉진에 관한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중학교 설립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학교가 설립되면 통학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