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협의에서 외교 장관들은 각국의 대응 현황과 주요 정책을 공유하고, 주요 20개국(G20) 특별 화상정상회의 추진 등 향후 공조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지난 15일에도 캐나다와 독일, 브라질, 이탈리아, 호주 외교장관과 다자간 전화 협의를 갖고, 코로나19 대응 관련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김 대변인은 "강 장관은 오늘 조셉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와 전화 협의를 갖고, 유럽지역 내 코로나19 확산 관련 한국과 EU 간 협력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일부 국가가 취하고 있는 이동 제한 조치로 인한 재외국민 조력에도 나설 계획이다.
김 대변인은 "외교부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국제적 공조가 긴요해진 상황에서 다자, 지역, 양자 차원의 소통과 협력 노력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단기 체류를 하고 계신 분, 중장기로 계신 분 중에서 귀국을 하셔야 되는 분들에 대해서는 교통편이 단절이 됐을 경우 대사관이 소통해 가면서 귀국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를 하고 모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정규 비자 업무를 중단한 것과 관련해서는 주한 미국대사관측에서 사전 설명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유학, 취업 등을 목적으로 미국에 장기 체류하는 것은 업무 재개 때까지 어려워질 전망이지만 비자 면제 프로그램(VWP)에 따른 전자여행허가제(ESAT)로 최대 90일 동안 관광 등을 목적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것은 가능하다.
외교부 당국자는 "추가 조치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었다"면서 "인도적 사유 등에 따른 비자 창구는 열려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이탈리아, 페루 등 국가에서 코로나19 관련 조치로 발이 묶인 재외국민과 한국인 여행객 이송에 정부 전세기 투입까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어 "(이탈리아 임시 항공편과 관련한)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면서 "밀라노와 로마에 각각 1편 정도 탑승 희망 인원이 있으니 2편이 마련돼야 할텐데 추가 협의가 남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또 우리나라가 올해 부담할 방위비 분담금의 수준을 결정하는 미국과 협상이 18일에 이어 19일에도 미국에서 계속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차 한미 방위비분담금협정 체결을 위한 7차 회의의 이틀째 일정이 현지시간으로 어제(18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됐다"고 밝혔다.
회의는 첫날과 마찬가지로 주로 양국 수석대표인 정은보 방위비분담협상대사와 제임스 드하트 미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가 수시로 만나 집중적으로 이견을 조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는 이틀 일정으로 예정돼 있지만, 일정을 연장해 20일에도 계속된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우리 대표단은 우리 시간으로 20일 밤에 출발하기 직전까지 미국과 협의를 계속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양국이 일정을 연장하며 협의를 이어가기로 함에 따라 난항이 계속되던 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이번 회의는 지난 1월 중순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6차 회의 이후 두 달 만에 재개된 것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