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2014 APEC 정상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한 장의 교통카드로 역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을 제안(One Card One Asia Project)한 이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교통 전문가들이 만난 이번 회의에서 전국호환 교통카드 정책추진 기술과 경험을 축적한 우리나라의 호환 방안을 소개했고, 이를 아시아권으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논의하는 자리다.

One Card All Pass란 대중교통시스템을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하여 전국 대중교통과 철도, 고속도로를 교통카드 1장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아시아권 교통카드 호환 방안 마련을 위한 APEC 차원의 정기적 논의를 위해 수석대표회의에서 복합운송 및 ITS 전문가 회의에 참석, 'APEC 교통카드' 특별팀 구성을 제안했다.
또한, 한국이 주최한 전문가 세션에서는 11개국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뉴질랜드, 중국, 홍콩,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등 교통카드 현황 공유 및 APEC 교통카드 도입방안 논의도 이루어졌다.
특히, 한국은 그간 지역별로 사용되는 교통카드가 달라 타 지역 이동시 발생했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전국호환교통카드정책을 수행한 경험을 소개, APEC 교통카드가 도입된다면 지역 간 연계성 확장과 무역활성화 및 역내 관광투자가 촉진될 것을 강조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아시아 국가 간 교통카드 공동 기반 시설 구축에 대한 이번 논의가 개별 국가들의 시스템 중복 투자 방지와 관광객의 대중교통이용 편의 증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면서, “각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우선 국내 교통카드사업자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장기적으로 타 국제기구 및 단체와의 협력방안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창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