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3 (월)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0.6℃
  • 맑음서울 -3.7℃
  • 맑음대전 -4.7℃
  • 맑음대구 -1.0℃
  • 맑음울산 -2.4℃
  • 맑음광주 -1.2℃
  • 맑음부산 -0.2℃
  • 맑음고창 -4.3℃
  • 구름많음제주 4.9℃
  • 맑음강화 -6.5℃
  • 맑음보은 -8.6℃
  • 맑음금산 -6.9℃
  • 맑음강진군 0.2℃
  • 맑음경주시 -1.0℃
  • 맑음거제 -0.4℃
기상청 제공

사회

캠퍼스 생필품 물가 한루 평균 5173원…교통비 더하면 1만원 필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사, 필수 한 달 생활비, 대학별 최대 6만원까지 차이

(서울=동양방송) 김정현 기자 = 대학 캠퍼스에서 기본적인 생활을 하는 데만 하루 평균 5,173원이 소요되며 하루평균 왕복교통비 4,830원을 더하면 하루 최소 1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내일 20대연구소는 1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5 서울 25개 대학 캠퍼스 물가 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점심을 해결하고, 캔음료를 한 잔 마시고, 수업에 필요한 과제물을 인쇄하는 등 기본적인 캠퍼스 생활을 하는 데만 하루 평균 5,173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대학생 하루 평균 왕복 통학비 4,830(201405월 대학내일 20대연구소 조사결과)까지 더하면 10,003원으로 1만원이 넘어간다. 일정한 고정 수입이 없는 대학생들에게는 부담이 되는 금액이었다

 

이러한 캠퍼스 생필품 물가는 대학별로 1일 최대 2,916원의 차이를 보였다. 한 달(20) 기준으로 환산하면 최대 6만원(58,320)가량 차이가 나는 셈이었다.

 

캠퍼스 생필품 물가가 가장 낮은 대학은 한국외대(4,008)이었으며 동국대(4,275)와 국민대(4,358) 순으로 생필품 물가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반면 성균관대의 캠퍼스 생필품 물가는 6,924원으로 조사 대상 대학 중 가장 높았으며, 광운대(6,910)와 서울대(5,650) 또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캠퍼스 생필품 물가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캠퍼스 돈가스 물가 평균은 3,600원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저렴한 곳은 한국외대(2,200)였다. 한국외대 학식은 저렴하면서도 퀄리티가 좋아 이미 대학생들 사이에서 유명했으며 SNS에 자주 회자되기도 했다.

 

반면 가장 캠퍼스 돈가스 물가가 높은 학교는 광운대(5,500)로 나타났으며 한국외대에 비해 2배 이상 비쌌다 

중앙도서관과 학생회관에 설치돼 있는 자판기를 대상으로 캠퍼스 캔커피 물가(원통형 RTD 캔커피 기준)를 조사한 결과, 캔커피 물가는 평균 670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저렴한 곳은 동국대(500)였으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캔커피를 구비해 놓은 곳은 서울대(10종류)였다.

 

캔커피의 가격은 동일 제품임에도 대학에 따라 최대 300원까지 차이가 났다. 가장 많은 대학(13개교)에서 보유하고 있던 조지아 오리지널(240ml)’을 기준으로 가격을 비교해본 결과 중앙대, 한양대, 광운대는 600원에 제공하고 있었으나 경희대와 성균관대, 한국외대, 건국대는 700원에, 서경대는 900원에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서 비슷한 품목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대학별 캔커피 물가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중앙도서관과 학생회관을 중심으로 캠퍼스 복사 물가와 캠퍼스 프린트 물가를 살펴본 결과 복사 물가는 흑백 평균 42, 컬러 평균 351원으로 나타났다.

 

흑백 복사 물가 가장 저렴한 곳은 건국대, 동덕여대, 한성대(30)였으며 가장 비싼 곳은 고려대, 서경대, 상명대, 한국외대, 숙명여대(50)로 대학별로 최대 20원 가량 차이가 났다. 컬러 복사 물가가 가장 저렴한 곳은 동국대학교(200)였으며 가장 비싼 곳은 서경대(600)였다.

 

캠퍼스 프린트 물가는 흑백 46, 컬러 385원으로 복사 물가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적은 금액이지만 복사(하루 평균 3)보다 프린트(하루 평균 15) 이용 비율이 높은 대학생들에게는 부담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흑백 프린트 물가가 가장 저렴한 곳은 동덕여대(27)이었으며 가장 비싼 곳은 한국외대(60)였다. 컬러 프린트 물가가 가장 저렴한 곳은 동국대학교(200), 가장 비싼 곳은 서경대(600)였다.

 

재학생 재학증명서 발급 가격을 기준으로 캠퍼스 증명서 발급 물가를 살펴본 결과 오프라인(방문발급, 무인기기발급 기준) 증명서 발급 물가는 평균 496원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저렴한 학교는 건국대(200), 가장 비싼 학교는 숙명여대(1,000)로 최대 800원 차이가 났다.

 

온라인 증명서 발급 물가 평균은 1,108원이었으며 서울대와 서울시립대와 같이 온라인 이용 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학교가 있는 반면, 경희대, 국민대 외 12개교는 1,500원이 소요됐다.

 

이재흔 대학내일20대연구소 연구원은 고정 수입이 없는 대학생들에게 1일 최소 만원의 고정비용이 드는 대학생활은 큰 부담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학별로 캠퍼스 생필품 물가가 한 달 평균 최대 6만원까지 차이 나는 만큼, 대학 등록금 이외에도 캠퍼스 생활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대학들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규모 상위 25개교를 대상으로 먼저 지난해 105일부터 30일까지 4주간의 예비조사를 통해 대학생들의 캠퍼스 라이프 패턴을 파한뒤 1111일부터 1218일까지 5주간의 현장조사를 통해 5가지 생필품 항목의 가격과 하루 평균 이용 빈도를 조사하고 가격과 빈도의 산술 평균을 통해 1일 캠퍼스 생필품 물가를 산출했다.

 

joseph64@dmr.co.kr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주광주중국총영사관, 전북중국인협회 방문…외국인 정착 지원 방안 논의 (전주=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중화인민공화국 주광주영사관의 주저화 부총영사와 수지버 영사가 16일 전북중국인협회를 방문해 협회의 주요 활동과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방문에서 영사관 대표단과 협회 관계자들은 전북특별자치도 내 중국 출신 주민들의 정착 지원 방안과 협회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협회는 주광주영사관과 협력하여 전북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 출신 도민들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지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주저화 부총영사는 "전북특별자치도에 중국인협회가 설립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향후 협회의 활력이 기대된다"며 "영사관 차원에서도 필요한 경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후에는 주저화 부총영사를 비롯한 전북중국인협회 회원 10여 명이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주최한 '외국인 지역 정착을 위한 광역비자 정책 포럼'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전북형 광역비자 정책 방안과 관련해 주한 외국 공관 관계자 및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논의되었다. 협회는 이러한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출신 도민들의 정착을 돕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