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낮은 접근성과 매우 적은 이용객 수로 한강 수상택시는 실효성 논란에 부딪혔다. 당시 수상택시 선사였던 청해진해운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사고 수습을 이유로 운항을 중단했다. 2016년 수상택시 운행이 재개됐지만, 계속된 적자와 잦은 배 고장으로 결국 2024년 사업이 종료됐다.
그런데도 오 시장은 2021년 취임 후 실패한 ‘한강 수상택시’와 별반 다를 바 없는 ‘한강 리버버스’를 자랑스럽게 내세웠다. 오 시장은 진수식에서 과거 수상택시 실패의 쓰라린 경험이 생각났는지 눈물까지 흘렸다.
오 시장이 느낀 감동과 달리 한강 리버버스는 벌써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2년 동안 한강 리버버스의 운항수익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선착장 내 편의점과 카페 등 부대시설 사업을 통해 수익을 보존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는 애초 서울시가 리버버스 이용객 수요의 부족을 예측했다는 방증 아닌가? 한강 리버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시민들이 굳이 선착장 부대시설을 방문해 매출을 올려줄 이유가 있는가?
사업의 명분도, 전략도 없다. 처음부터 운항수익 적자가 나는데 언젠가 이용객이 많아질 것이라 기대하는 것은 ‘인디언 기우제’식 전시행정의 전형이다.
이처럼 오 시장은 과거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기는커녕, 막대한 서울시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을 오기 부리듯 추진하고 있다. 영국 템스강 수상버스 등 해외 사례를 거론하지만, 대한민국 민생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이러한 사업은 재정 낭비 ‘오퓰리즘’에 불과하다.
정책은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해 과학적으로, 합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서울시는 오 시장 개인의 정치적 야심에 휘둘리는 독무대가 아니다. 오 시장은 서울시민의 소중한 혈세를 무리한 사업에 낭비하는 일을 그만 멈춰라.
2025년 3월 6일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