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원웅 회장은 이날 오전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한 자리에서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두고, 우리는 무겁고 부끄러운 마음으로 이곳 묘역을 참배하며,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의 영전에 가슴 속 깊은 성찰과 반성의 뜻을 표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에는 이철우 5.18기념재단이사장 겸 5·18 40주년 상임행사위원장과 김후식 5·18 부상자회 전 회장을 비롯한 5·18관련 인사 및 광주·전남 광복회원들이 함께 했다. 김 회장은 “40년 전, 5·18 민주인사들의 정의로운 투쟁에 대해 우리는 '광복회보'를 통해 이를 ‘소요사태’로 폄하한 바가 있다"고 반성했다.
이어 김 회장은 "박근혜정권 당시 국가보훈처는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을 거부하면서, 그 근거로 ‘광복회를 비롯한 보훈단체들이 이 노래의 제창을 반대하고, 5·18행사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면서 "사실 광복회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에 대한 의사를 표명한 바가 없으나 당시 보훈처의 거짓 발표를 알고도 방관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고백했다.
그는 “그간 친일에 뿌리를 두고 분단에 기생해 온 반민족세력들이 색깔론으로 광주시민들의 가슴을 아프게 해 왔다”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북한의 대남 공작용 혁명가요’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노래’ 등으로 왜곡해 왔다. 5·18정신을 왜곡 폄하하는 ‘악의 세력’에 우리 광복회도 맞서겠다”고 힘줘 말했다.
김 회장은 “‘광주민주화정신’은 친일반민족권력에 맞선 투쟁으로 독립운동정신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면서 “이제 대한민국을 친일이 아닌 독립의 토대 위에 다시 세워야 한다. 우리 역사의 주류를 친일세력이 아닌 독립세력으로 바꿔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번 21대 국회의원 후보 전원에게 친일찬양금지법 제정에 관한 찬반의사를 물었으며,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자 253명 중 3분의 2ㄷ가 넘는 190명이 찬성의사를 밝혔다"면서 "광복회는 친일찬양은 물론 5·18민주화운동 왜곡을 형사 처벌할 수 있는 역사왜곡금지법의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이날 함께 참배에 참석한 이철우 5·18기념재단이사장 겸 5·18 40주년 상임행사위원장은 "5·18 40년이 되었는데도 아직도 진상규명이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극우세력들의 5·18 왜곡과 폄훼가 아주 극심한 상태”라면서 “이는 기득권 친일세력들이 여전히 청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성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