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허세를 멀리하고 탐욕에 물들지 않은 꼿꼿한 시정신으로 한국 시단에 경종을 울리던 이생진 시인이 2025년 9월 19일, 향년 97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그는 우리 문단에서 활동하던 최고령 시인이자, 섬과 바다의 시인으로 불리며 한국 서정시의 한 축을 지탱해온 원로였다. 1929년 충남 서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보성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은 뒤, 바다와 섬을 떠돌며 평생을 시로 기록했다. 김현승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등단한 이후, 그는 50여 권이 넘는 시집과 시선집, 사화집을 남기며 쉼 없이 창작에 매달렸다.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제주를 노래한 한국 현대시의 명편으로 꼽히며, 고인을 '성산포의 시인'으로 기억하게 했다. '바다에 오는 이유', '섬에 오는 이야기', '섬마다 그리움이', '먼 섬에 가고 싶다' 등 바다와 섬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모두 그가 평생 추구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준다. 1996년 윤동주 문학상('먼 섬에 가고 싶다'), 2002년 상화시인상('혼자 사는 어머니')을 수상했고, 2001년에는 '그리운 바다 성산포'로 제주도 명예도민증을 받았다. 이후 2012년 신안군 명예군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영문학자이자 시인인 김용재 사단법인 국제PEN한국본부 이사장이 29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0세. 김용재 이사장은 1974년 월간 '시문학' 추천으로 등단해 시집 '겨울산책', '큰 꿈은 일어나 날개를 달고' 등을 펴냈고, 호서문학상과 2003년 제26회 한국현대시인상 등을 받았다. 대전 출생으로 충남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고인은 대전대학교 영문과 교수와 교수협의회 회장, 문과대학장,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문단 활동도 활발히 펼치며 사단법인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김용재 이사장은 또한 영문학자이자 시인으로서 세계시인대회 한국대표로 참여하는 등 한국문학 세계화를 위해 많은 활동을 했다. 지난 2021년 3월부터 제36대 사단법인 국제PEN한국본부 이사장으로 재직하며 세계한글작가대회 등을 성공적으로 치렀다. 시선집 12권, 영역·영문시집 5권, 산문집 등 40여 권이 있으며 한국현대시인상, 국제계관시인상 등을 수상했다. 빈소는 대전을지대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5월 1일 오전 7시다. ☎042-611-3979 i24@daum.net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부고] 이명수(서울의소리 기자) 씨 모친상 ▲ 이옥춘(향년 91세) 씨 별세, 이명진(행복교육정책연구원 원장)·이명수(서울의소리 기자) 씨 모친상, 김종하·김기종·한규철·최승동 씨 장모상 = 10월 25일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 26일, 장지 강원도 삼척추모공원. 연락처 02-2610-9472 i24@daum.net
(경남 하동=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근현대차(茶)산업의 선구자이자 산증인인 명인 홍소술 옹이 8일 향년 92세로 별세했다. 전통식품명인 30호 홍소술옹은 1958년 전쟁이 할퀴고 가 폐허가 된 자리에 곡식이 아닌 차(茶)나무를 심었던 우리나라 차 사업의 선구자다. 2007년 대통령 산업 포장증을 수상하고 죽로차 명인으로 지정되었다. 한국차생산자연합회 회장을 맡아 대한민국차산업발전에도 기여했다. 유족 측에 따르면 홍소술 옹은 "우리차의 정신과 가치는 국민들의 차에 대한 관심도에 달려 있으니, 한국차산업문화 발전을 위해 우리나라 차산업인들과 차문화인들이 함께해야 한다"며 "이같은 마음으로 한국차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라"고 유언을 남겼다. 우리차산업과 차문화에 대해 마지막까지 걱정해왔던 죽로차명인 홍소술 옹이 이날 오전 숙환으로 별세하자 전국차문화산업인들의 추모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홍소술 옹은 차 나무를 재배한다는 개념 자체가 없었던 시절 전통차 복원과 다도문화에 뜻을 가지고 하동 화개면에 야생 녹차 재배를 시작했다. 이 후 야생 녹차 재배를 위해 매일 산을 오르내리며 풀을 뽑고 돌을 고르며 야생녹차에 대한 애정을 더욱 키워 나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인터넷언론 신문고뉴스 추광규 대표의 모친 윤기순 여사께서 향년 84세를 일기로 2021년 2월 23일 오전 10시 33분 소천했다. 유족으로는 부군인 추전오 님, 장남 추광규(신문고뉴스·법률닷컴·(주)시사포토뱅크 대표·인터넷언론인연대 상임이사 겸 취재본부장), 차남 추광후(세무사), 장녀 추미림(주부), 차녀 추미선(주부)이 있으며, 장례식장은 고려대 안산병원 장례식장 202호. 발인은 2월 25일(목)이다.
▲이우세 씨 별세, 이종석 씨 부친상, 조현철(KNS뉴스통신 보도국장)씨 장인상=17일, 청주병원 장례식장 7호실, 발인 19일 오전 7시, 장지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모정리 선영, 010-8454-1628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인 원로 시인 심산(心山) 문덕수(文德守) 선생이 13일 낮 12시40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2세. 고인의 호는 심산(心山)·청태(靑笞)다. 1928년 12월 8일 경남 함안(咸安)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국어국문과 및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교수와 대학원장, 한국현대시인협회장(1981~1984), 국제펜한국본부 회장(1992),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1995), 대한민국예술원 회원(1993~2020) 등을 역임했다. 1947년 《문예신문》에 시 '성묘'를 발표하였으며, 1955년 《현대문학》에 시 '침묵', '화석', '바람 속에서' 등이 청마 유치환 시인에 의해 추천되어 등단했다. 1956년 첫 시집 <황홀>을 간행한 이후, <선·공간>(1966), <영원한 꽃밭>(1976), <살아남은 우리들만이 다시 6월을 맞아>(1980), <다리 놓기》(1982>, <문덕수 시선>(1983>, <조금씩 줄이면서>(1985), <그대 말씀의 안개>(1986), <사라지는 것들과의 만남>(199
▲김용희씨 별세, 이미내(아시아뉴스통신 대표이사)씨 모친상, 장세희(아시아뉴스통신 편집대표 겸 국장)씨 장모상= 30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요양병원 장례식장 1분양소, 발인 1월1일 오전 8시, 장지 경기 의왕시 하늘공원 031-640-9797
▲송기형씨 별세, 김영규(국제뉴스 대표) 장인상= 분당제생병원 장례식장 5호실, 발인 15일 오전 9시, 장지 경기도 광주 선영 031-708-4444
▲차성웅(한국NGO신문 이사)씨 별세, 여영미(한국NGO신문 대표)씨 남편상, 차민경 씨 부친상=27일은평성모병원장례식장 9분향실, 발인 29일 오후 12시30분, 장지 서울시립승화원, 02-2030-4444
▲위정남 씨 별세, 박주선(바른미래당 국회의원)씨 모친상= 5일,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7호, 발인 7일 오전 5시, 장지 전라남도 보성군 선영, 02-3410-6917 redkims64@daum.net
▲천득린 씨 별세, 천정배 (민주평화당 국회의원)·방훈(전 삼성전자 전무)·월희(전 목포영흥중 교사)·진희(목포마리아회고 교사)·민희씨(전 아이비학원 원장) 부친상, 홍성곤(고려대 강사)·김대중(목포 제일중 교사)·현재형(솔라팩토리이노베이션 대표)씨 장인상, 천지성(서울중앙지법 판사)·미성(외교부 서기관)·유현(NICE평가정보 대리)·유상(오레곤대 박사 과정)씨 조부상 = 8일,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2호실, 발인 11일 오전 5시, 장지 전남 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구석마을 선영, 02-2227-7500
▲ 김춘재 씨 별세, 정성남 파이낸스투데이 편집국장 장인상= 7일 오전, 강남세프란스병원 장례식장 3호실, 발인 9일 오전 9시, 장지 한남공원 선영하, 02-2019-4000
▲신현순 씨 별세, 반기문(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전 유엔 사무총장)씨 모친상=17일 오후 9시,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 발인 20일 오전 7시, 장지 충북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 선영, (02)2227-7500 redkims64@daum.net
▲ 허식씨 별세, 허은심·허윤경·허욱(이호산업개발 부장)·허은하씨 부친상, 김정현(미래일보 편집국장)·박무열(이호산업개발 대표)·정복수(이호산업개발 부장)씨 장인상 = 13일 오전 3시11분께, 인천 쉴낙원장례식장 10호실, 발인 15일 오전 7시30분, 장지 인천부평승화원 032-548-1009 mdn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