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동백과 목련은 생멸의 미학"

문인들이 선호하는 혹한의 추위를 견디고 피어낸 '동백과 목련'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샤넬의 설립자 코코샤넬(Coco Chanel. 1883~1971)은 장미보다 동백을 좋아 했다. 그는 동백꽃을 꽃 중의 꽃이라 했다.

나폴레옹(Napoleon.1769~1821)은 그의 아내 조세핀(Josephine. 1763~1814)에게 동백꽃을 선물했다. 19세기 서양에서는 튤립처럼 동백이 투기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동백(冬柏)은 혹한에서 꽃망울을 터트린다. 문인들이 혹한의 추위를 견디고 피어낸 동백과 목련을 선호하는 이유도 그런 뜻이다.

동백꽃의 꿀을 좋아하는 새는 동박새다. 동백이 피는 시간은 곤충이 없다. 동백은 향기도 없다. 동백은 오르지 붉은 색으로 동박새를 초대하여 꿀을 재공하고 수정을 한다. 그래서 조매화(鳥媒花)의 하나다.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1836년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보물 제878호)'에는 선조들이 마셨던 차(茶)들 중 산다화(山茶花)라는 동백꽃차가 등장한다.

추웠던 겨울이지만 그래도 동백은 붉게 노래한다. 경남 통영 장사도에 10만 그루의 동백이 동박새를 초대하여 잔치를 한다. 여수 오동도 동백숲이 빨갛게 물들였다. 전남 강진 백련사 1500그루 동백숲은 터널을 만들어 발길을 뜨겁게 한다. 미당의 시에 나타나는 선운사의 동백도 구성진 육자배기를 부른다.

김유정 문학관에 들리면 김유정의 단편소설 '동백꽃'은 '생강나무'라고 고쳐서 안내하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생강나무를 동백이라고 부른다는 사실도 알려준다.

동백을 노래하는 시인들의 펜 끝은 붉다.

"다홍으로 불이 붙는다(정훈 시인), 닫혔던 문 열리며 쏟아낼 기쁨(김승기), 눈 내리면 눈을 뜬다(신술래), 동백 붉게 터지는 선운사 뒤안에 가서 엉엉 울었다(김용택), 선운사 동백을 보고온 사람은 동백꽃 냄새가 난다(김명수), 뜨거운 술에 붉은 독약 타서 마시고(문정희), 선홍빛 요정 너무나 안타까워라(유응교),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최영미), 빛나는 잎새마다 쏟아 놓은 해를 닮은 웃음소리(이해인), 툭하고 떨어지는 붉은 천둥소리(최창일).”

동백꽃은 두 번 핀다. 꽃에서 동박새를 부르고 바닥에서도 여전히 붉게 빛이 난다. 제주도에 피는 동백은 4.3사건의 포스터에 그날의 통곡을 알려준다.

목련(木蓮)은 동백을 시샘하며 뒤를 이어 핀다. 독일의 의학박사 '블라디미르 들라브르'는 목련은 시를 쓴다고 과학으로 증명한다. "목련과 나 사이에 생각과 관념, 그리고 감정까지 오간답니다. 이 나무와 얘기하는 게 내게는 이제 일상생활이 되어 버렸어요"라는 연구를 그의 저서 '장미의 부름'에서 얘기한다.

시인들은 목련을 들어 '비녀를 꼽은 여인, 도끼를 든 여자'의 절개의 여인상을 표현한다. 꽃모양이 연꽃을 닮아서 목련, 향기가 은은하다고 해서 목란(木蘭)으로도 불린다.

목련은 늘 북쪽을 보고 있다. 그래서 북향화(北向花)라 한다. 목련은 2백만 년에서 6천5백만 년 전 백악기의 가장 원시적인 현화식물중 하나다.

뭐니 뭐니 해도 박목월 시인의 '4월의 노래' "목련꽃 그늘아래 베르테르의 편지를 읽노라" 구절은 단연 압도적이다. 아무상관도 없는 베르테르와 목련이 이어진 것은 박목월 시인의 천부적 상상력이다. 매년 피고 지는 목련은 박목월 시인을 떠올리게 한다.

조영식의 '목련화' 가곡, 박목월의 '4월의 노래'를 필적할 작품이 아니거든 목련화에 대한 작품은 만들지 말라고 권한다. 나는 가곡 '목련화에 부는 바람'을 만들고 지금도 후회를 하고 있다. 예술은 늘 으뜸만이 거론하는 세상이다.

목련은 봄의 등불이다. 목련이 하얀 꽃등을 내걸면 봄이 시작 된다.

일송 윤평현 시인은 "새소리 없으면/ 숲속은 얼마나 적막 할까/ 봄은 오는데 꽃이 없으면 세상은 얼마나 삭막할까/ 꽃은 피어나는데 당신이 없으면 홀로 걷는 길은 얼마나 쓸쓸할까"라고 노래한 연유를 알겠다.

동백과 목련은 시를 쓰고 노래한다. 동백과 목련은 생멸(生滅)의 미학이 되어 뛰어가는 노루처럼 우리들의 눈과 가슴으로 달려오고 있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김영두 작가, "연애의 본질을 향한 도발적 질문과 문학적 실험"… 장편소설 <벚꽃이 진다 해도> 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연애는 언제나 문학의 주요한 화두였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에서부터 근현대 한국소설에 이르기까지, 사랑은 인간 존재의 본질과 맞닿은 서사의 원천이었다. 그러나 연애가 더 이상 낭만적 설화로만 그려지지 않는 시대에, 소설은 어떤 방식으로 사랑을 새롭게 말할 수 있을까. 최근 월간순수문학사가 펴낸 김영두 소설가의 장편 <벚꽃이 진다 해도>는 이 질문에 정면으로 답한다. 작가는 연애를 설렘과 황홀의 감정으로만 다루지 않고, 그 속에 도사린 지겨움과 갈등, 치떨림과 회피, 그리고 결국 맞닥뜨려야 할 자기 성찰을 드러낸다. 벚꽃이 피고 지는 순간의 화려함이 결국 사라짐을 내포하듯, 연애 또한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불가피한 소멸을 품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작품은 남녀 간 연애라는 고전적이면서도 끊임없이 새롭게 변주되는 주제를 정면으로 응시한다. 김영두 작가는 연애의 설렘과 황홀, 그러나 그 이후 찾아오는 지겨움과 치떨림까지 숨김 없이 드러내며, 사랑의 본질을 도발적으로 질문하는 서사를 펼쳐낸다. 소설 속 화자는 '노아'라는 남자를 중심에 두고 수많은 관계의 굴곡을 경험한다. 부부, 후배, 선배, 제자, 친구라는 사회적 역할 속에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희망브리지, '안아드림 페스티벌’ 참여…소방관 응원 부스 운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임채청)는 26일부터 27일까지 경상북도청 천년숲에서 열리는 '2025 안전경북 아이행복 드림 페스티벌(안아드림 페스티벌)'에 참여해 ‘특명! 소방관을 응원하라’ 부스를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안전경북 아이행복 드림 페스티벌(안아드림 페스티벌)은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경상북도 소방본부가 주관하는 도내 최대 규모의 안전체험 행사로, 올해로 4년째를 맞는다. 희망브리지는 이번 부스에서 ▲소방관 OX 퀴즈 ▲소방관 긴급출동키트 꾸리기 ▲소방관 응원 메시지 남기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시민과 어린이들이 직접 체험하고,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며 소방관을 응원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활동은 희망브리지의 '국민 히어로즈'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국민 히어로즈는 월 2만원의 후원으로 소방관에게는 출동키트, 이재민에게는 구호키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이 일상에서 소방관과 이재민을 응원하는 나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경북도민과 함께 소방관을 응원할 수 있는 소중한 자리에 함께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소방관들과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