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회견은 김선홍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중앙회' 중앙회장 겸 ‘개헌개혁 행동마당’ 공동의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되었고, 참석자는 15명이었다.
이근철 ‘국민연대’ 상임대표 겸 ‘국힘해체추진행동 준비모임’ 공동대표, 류종열 사)‘DMZ 평화네트워크’ 이사장 겸 ‘국가혁신개헌 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 노세극 '직접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임양길 '개혁연대 민생행동' 공동대표(내정자) 겸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상임운영위원, 윤영대 '투기자본감시센터' 공동대표, 윤인희 '고질적 난제 연구소' 소장 등이 주관단체 대표 자격으로 차례차례 회견문을 낭독했다.

이들 단체는 이어서 "이재명 대표가 스스로 강조한 것처럼 ‘민주적 공화국’의 문을 활짝 열겠다는 이 공언을 원론적으로 반대할 국민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라며 "하지만, ‘그 첫 조치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겠다는 각론에 들어가면 이야기가 달라질 것"이라면서 비판하기 시작했다.
예컨대, "지난 12월 3일 윤석열이 자행한 위헌 불법 친위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간 뒤에도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다수가 내란수괴를 옹호하고 두둔하는 언행을 계속했다"라며 "참다못한 국민이 몇 차례에 걸쳐 이들 가운데 도가 지나친 의원 약 60명을 특정하여 제명하라는 청원을 제기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상원 의원 제명, 추경호 및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55인 제명, 권성동 의원 제명, 김민전 의원 제명에 관한 청원이다. 각각 5만 명을 초과한 이들 청원에 대해 원내 절대다수 제1정당인 민주당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결론으로 이들 단체는 "현행 국회법에 있는 징계 관련 조항과 제명 규정에 따라 의원직 제명 청원안건부터 즉각 처리하라! 그렇게 한다면,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할 필요도 없다"라며 "국민소환제가 꼭 필요하다면,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대통령 등 모든 고위공직자를 대상으로 설정하라!"라고 촉구했다.
특히, 이들 단체는 "이재명 대표가 제시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와 '모두의 질문Q'가 아니라 국민발안·발의 권리보장부터 직접민주정을 시작하는 것이 훨씬 더 획기적일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하면서 "국민개헌권리보장 개헌안 찬반투표와 조기 대선 동시병행실시를 당론으로 채택할 것"을 제안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