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리스트' 의혹 김기춘·조윤선 특검 동시 소환...'윗선' 朴대통령 정조준

  • 등록 2017.01.22 15:19:26
크게보기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관리를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78)과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전 장관(51·당시 정무수석)이 22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의해 동시에 소환됐다. 모두 수의가 아닌 정장 차림이었다.

이제 특검 수사는 블랙리스트의 '윗선'이라고 의심되는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하고 있다.

이날 오후 2시쯤 호송차를 타고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검사무실에 도착한 이들은 '블랙리스트를 작성하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한 채 조사실로 향했다.

조 전 장관은 전날과 같이 정장차림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박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적 있었냐' '혐의를 인정해서 장관직을 사퇴한 거냐'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 답도 하지 않았다.

이어 구속 이후 수갑으로 결박된 채 처음 특검에 소환돼 호송차에서 내린 김 전 실장은 검은색 코트를 입고 수건으로 두 손목을 감싸 수갑을 가린 모습이었다. 넥타이는 매지 않았다.

기다리던 취재진이 '박 대통령의 지시였는지' 등을 물었으나 김 전 실장은 굳은 표정으로 아무런 말을 하지 않은 채 특검사무실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에 올라탔다.

특검팀은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을 상대로 박근혜 대통령이 블랙리스트 작성을 직접 지시했는지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대질신문 가능성도 열어놨다.

이른바 '블랙리스트'는 정치성향에 따라 문화예술계 인사 및 단체의 정부 지원을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진 문건으로 특검 수사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됐다.

또 이를 통해 문화예술 관련 분야 전반에 걸친 검열 및 지원배제가 이뤄졌음이 드러났다.

특검은 김 전 실장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작성·집행을 총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김 전 실장의 주도 아래 청와대 정무수석 산하 국민소통비서관실에서 작성됐고, 교육문화수석을 거쳐 문체부에 전달했다는 것이다.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재직한 조 전 장관은 명단 작성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블랙리스트의 작성이 세월호 참사 발생 한 달 뒤 시작돼, 작성 목적이 세월호와 관련한 문화예술인 활동 방해와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 사전 차단에 있었다는 의혹도 불거진 상태다.

특검팀은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당시 정무수석)이 구속된 만큼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가 이뤄지기 전까지 이들을 집중적으로 불러 블랙리스트 관련 수사를 마무리 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국회에서의 증언·감정에 관한 법률 위반(위증)혐의로 21일 새벽 서울구치소에 수감됐다.

김 전 실장은 이날 구속 이후 처음으로 특검의 소환조사를 받는다. "모른다"로 일관하던 그의 태도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 주목된다.

조 전 장관은 지난 21일에도 특검에 소환돼 3시간 가량 조사를 받았다.

같은 날 특검은 김 전 실장에게도 소환을 통지했으나, 김 전 실장은 건강상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한편 이날 특검은 최순실씨(61·구속기소) 조카 장시호씨(38), 남궁곤 전 이화여대 입학처장(56), 광고감독 차은택(48)씨, 이인성 이화여대 의류산업학과 교수(54) 등 구속피의자들을 소환해 수사를 이어갔다.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