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풍경'이 만드는 아름다운 기적

  • 등록 2025.03.24 21:51:42
크게보기

"노래는 때때로 우리의 기억을 풍경으로 만든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산책'과 '풍경'의 언어는 시인과 예술인이 선호한다는 분석도 있다. 산책과 풍경에는 넉넉한 여유가 걸어 다니기에 그럴 것으로 짐작된다. 수많은 시와 노래는 풍경과 산책 안에서 탄생 되었음을 주장해도 시비를 걸만한 위인은 없을 것이다.

요즘 말하고 싶지 않은 풍경이 있다. 계엄을 정리하는 헌법재판소에서 거짓말하는 풍경들이다. 그러한 가운데 탄핵을 마무리하는 변호사의 시간에 독특한 장면이 있었다.

'시인과 촌장'의 노랫말 '풍경'을 인용하는 변호사다. 매우 이례적 풍경이다. 가시덤불로 비유하고 싶은 부류들에 거룩한 풍경의 노랫말을 인용하는 장순옥 변호사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변호사는 평소 풍경의 노래를 좋아하는 말로 변론을 하기 시작했다.

장 변호사는 가난한 대학 시절부터 턴테이블을 자취방에 놓고 음악을 좋아했다는 후문이다.

노래는 때때로 우리의 기억을 풍경으로 만든다. 어떤 노래를 들으면 특정한 장면이 떠오르고, 그 장면은 우리가 살아온 시간과 얽혀 있다. 시인과 촌장의 노래 ‘풍경’ 역시 그런 힘을 지닌 곡이다.

이 노래는 단순한 멜로디와 서정적인 가사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안에는 깊은 사색과 감성이 녹아 있다.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그리운 풍경들"이라는 노랫말처럼, 이 곡은 우리 각자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풍경'을 불러낸다. 그 풍경은 단순한 자연의 모습이 아니라, 삶의 한순간을 담고 있는 장면들이다.

우리는 흔히 '풍경'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릴 적 고향도 떠올린다. 시인과 촌장이 말하는 풍경은 아름다운 자연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의 기억 속에서 빛바랜 듯 남아 있는 시간의 조각들이다. 때로는 애틋하고 때로는 아련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인생의 장면들이다.

사람마다 마음속에 품고 있는 풍경이 다르다. 누군가에게는 어린 시절 뛰놀던 골목길이,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바라보던 저녁노을이 있다. 삶이 바쁘고 정신없이 흘러가도, 문득 노래 한 곡이 그런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순간이 있다.

'풍경'은 바로 그런 감정을 건드린다. 가사의 한 줄 한 줄이 우리가 지나온 길을 되돌아보게 하고 있다. 마음속 어딘가에 간직해둔 장면을 불러낸다. 우리는 그 순간 깨닫게 된다. "아, 나는 이런 풍경을 가졌었지."

우리가 바라보는 것, 그리고 놓쳐버린 것, 살아가면서 얼마나 많은 풍경을 지나쳐 왔을까. 바쁘게 일상을 살아가느라 가끔은 창밖의 하늘조차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는 시간도 무심코 흘려보낸다. 지나간 후에야 그 순간이 얼마나 소중했는지를 깨닫는다.

'풍경'이 들려주는 메시지는 단순하다. 삶을 채우고 있는 장면들을 더 자주 들여다보라는 것이다. 우리가 걷는 길, 마주하는 사람들, 그리고 느끼는 감정들이 결국 우리의 삶을 이루는 풍경이 된다.

그러니 오늘 하루만큼은 조금 천천히 걸으며 주변을 둘러보아야겠다. 하늘의 색, 거리의 풍경, 그리고 곁에 있는 사람들의 얼굴을 바라보기도 해야겠다. 언젠가 이 순간들도 우리의 마음속에서 소중한 풍경으로 남게 될 테니까.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평론가)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