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창작과 생명, 모종의 관련설'

2023.05.21 20:55:36

"삶이란 우울과 환희가 교차 병행...우울과 환희도 넘칠 때 부화가 된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작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질문은 형이상학(形而上學)적이거나 모호성, 추상의 말로 들린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펜과 걷는다. 극도의 몰입이 된다. 그 몰입에 미쳐버릴 것 같다는 체험담을 전하기도 한다.

박인환의 시, <목마와 숙녀>로 알려진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1882~1941)는 이런 글을 남기고 세상을 떴다.

"지금 난 미쳐 버릴 것 같습니다. 더 이상 이 끔찍한 시기를 견디며 살아갈 수 없습니다. 이번에 회복하지 못할 것 같아요. 환청이 들리고 일에 집중하지 못하겠습니다. 이제껏 나의 모든 행복은 당신이 준 것이고, 이제 더 당신의 삶을 망칠 수 없습니다."

쪽지는 남편에게 남긴 것이다. 산책을 가장한 버지니아 울프는 아우스 강가로 나갔다. 바바리코트 주머니에는 돌멩이를 하나둘 넣기 시작한다. 그리고 3월의 차가운 아우스 강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버지니아울프는 동양의 청년 시인 박인환의 가슴을 울리고 떠남으로 한국에 명성을 크게 남긴 작가다. <등대로>, <댈러웨이 부인>, <세월> 등의 주옥의 소설이다. 영국 여성 운동가, 최고의 작가 반열에 우뚝 서 있던 버지니아 울프가 아니던가!

예술가나 작가 중에는 자살의 작가가 많다.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전혜린, 민족 시인으로 추앙된 <진달래>의 김소월 시인도 그렇다. <봄은 고양이로소이다>를 쓴 이장희 시인도 청산가리를 먹고 생명을 포기한다. 그의 나이 29세였다.

1920년 초, 감상적이고 낭만주의에 치우쳤던 이 시인은 짧은 형식의 시를 썼다. 그의 시에는 절제된 감정이 탁월했다. 시와 다르게 죽음의 절제는, 하지 못한 생의 시인이 되었다.

반 고흐나 차이콥스키도 그렇다. 미국의 시인 하트 크레인은 달리는 보트에서 뛰어내리고, 랜델 제렐은 신혼여행 가는 기차에서 뛰어내렸다. 생명의 봄을 밀쳐내 버린 작가들이다. 실비아 플라스는 가스 오븐에 머리를 박고 죽었다.

새라 티즈데일은 떠나간 연인에게 <나 죽으면 그대는…>이라는 서정시를 유서 대신 남기고 수면제를 먹고 떠났다. 유달리 시인에게는 자살이 많다. 미국의 시인 앤 색스턴도 몇 번의 시도 끝에 결국 자살을 하고 말았다.

자살의 그림자 명단에는 빠질 수 없는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다. 헤밍웨이는 요즘으로 말하면 치매기의 공포, 우울증을 견디지 못했다. 1961년 6월 권총으로 생을 무질렸다. 특이하게도 그의 집안에 다섯 명의 자살 내력이 있었다. 세간에는 자살의 가족력, 유전자가 있다는 비과학적 말도 떠돌았다.

자살 연구가들에 의하면 자살 충동에는 창의력과 모종의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시인이나 작가는 보통사람들보다 중증의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4배나 높다는 연구통계다.

이외수 작가는 생전 인터뷰에서 작가는 작중의 인물 속에 빠짐으로 작품이 된다 했다.

살인자의 내면을 알기 위해서는 자살자의 악랄에 도달한다. 큰 합판을 벽에 세우고 두 시간, 세 시간 동안 살인자의 입장이 되려 식칼을 던져 본다. 이외수 작가의 인터뷰 담이기에 실지의 모습은 목격하지 못했다. 분명한 것은 작가가 창의력에 몰두하려는 것은 내면의 수만 촉각의 결과물이다.

삶이란 우울과 환희가 교차 병행한다. 우울에는 견딜 수 없는 차오름의 슬픔이 내재한다. 그 슬픔의 내재가 작품에서 확장된다. 환희도 마찬가지다.

기쁨과 아름다움이 차고 넘칠 때 추구하는 작품 속에서 부처의 내재 된 모습과 그 본성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우울과 환희도 넘칠 때 부화가 된다. 넘침의 해결이라면 작품의 완성과 함께 그 환경에서 떠나는 여행이 필요하다는 자살심리학자의 분석도 있다.

- 최창일 시인('시원의 입술' 저자).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