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를 좋아하는 사람들, '2025년 제13회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제(金鰲新話祭)' 개최

  • 등록 2025.02.21 18:23:55
크게보기

전국의 문학인과 유학자 그리고 한문학을 연구하는 사람, 일반 시민들로 구성…지난 2013년부터 매년 경주서 동제(洞祭) 지내

(경주=미래일보) 공현혜 기자 = 지난 20일 오후 1시 경주시 남산에 위치한 용장사 터에서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탄생을 기념하는 동제가 봉행 되었다.

이날 행사는 초헌과 아헌, 종헌의 삼헌과 독축(讀祝)으로 유가의 제례에 준하고, '금오신화' 중 '만복사 저포기'에 나오는 김시습의 시 낭독, 매월당과 금오신화에 대한 자작시 낭송 순으로 진행되었다.

지난 2013년부터 매화가 피는 2월에 동제를 지내온 '금오신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전국의 문학인과 유학자 그리고 한문학을 연구하는 사람. 일반 시민들로 구성되었다. 코로나로 용장사 터까지 올라갈 수 없던 시절에는 남산 아래에 모여 제를 올렸으나 한 해도 거르지 않았다.

모임을 이끄는 권순채(73세. 향토 사학자)는 "나이가 들수록 뒤를 이어 갈 사람을 찾게 된다"며 "20회 동제까지는 책임지고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제(金鰲新話祭) 기념 집을 만들고 싶다"고 그동안의 자료들을 모은 것을 여담으로 남겼다.

이날 동제는 초헌관-박홍식(전, 한국유교학회장). 아헌관-김용환(전, 부산대교수). 종헌관–김인식(고교 교장역임) 등을 비롯하여 권순채(향토 사학자). 정수암(서예가). 김영춘(서예가). 최상욱(경주시 내남면 박달4리 주민). 이운우(수필가). 박기수(용장3리 지역 주민), 박서희(시인). 박수옥(서예가). 심정보(올바른 뉴스 대표). 정진농(전, 부산대교수). 이상안(울산 영진철물사장). 한기운(수필가). 이남이(동학 역사기념사업회 이사). 박천익(행복문학회장). 정호완(전, 행복문학회장). 이한구(전, 동국대 경주교수). 김영제(전, 내남면장)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김시습이 지은 '금오신화'는 한국 전기체소설(傳奇體小說)의 효시로 최초의 한문 소설집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문인이자 천재로 불렸던 시인 김시습. 단종의 폐위를 기점으로 방랑 생활을 하며 전국을 누볐다. 그런 김시습의 생애에서 가장 오랫동안 머물렀던 곳이 경주였다. 31세(1465년. 세조 11년)부터 경주 금오산(현, 경주남산) 용장사에 금오산실을 짓고 설잠이라는 법명으로 지내는 7년여 사이에 '금오신화'를 지은 것으로 전한다.

u4only@daum.net

공현혜 기자 u4only@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