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평생학습 수요 14만명 대학 내로 흡수하는 방안
평생교육의 질 높이고 대학 정원감축 충격 완화 포석
(서울=미래일보) 교육부가 14만 명에 달하는 평생학습 수요를 대학 안으로 흡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학령인구 감소 등 점차 대입자원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대학에 새로운 시장을 열어주는 한편 고졸 취업자의 ‘일·학습 병행’을 정착시키려는 포석이다. 교육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성인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 개편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김재춘 교육부 차관이 26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공용브리핑룸에서 고졸 취업자 등 성인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인 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 개편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교육부 제공
교육부에 따르면 2015년 현재 국내 평생교육 수요는 △학점은행제 8만767명 △폴리텍대학 학위과정 8240명 △대학 재직자 특별전형 5932명 △독학학위제 1358명 등을 포함해 14만 명에 달한다. 반면 대학 입학자원은 2018년부터 고교 졸업자 수보다 대학 정원이 더 많아지는 '역전 현상'이 예고되고 있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이런 평생학습 수요를 대학의 정식 단과대학으로 흡수하는 방안이다. 고교 졸업자 수가 줄어드는 빈자리를 고졸취업자나 재직자, 만학도 등 성인학습자로 채우겠다는 의미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대학 구조조정의 충격을 완화하고 평생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대학 내 평생교육 단과대학이 신설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00대학교 공과대학’처럼 대학이 평생교육만을 전담하는 단과대학을 설립할 수 있도록 행·재정 지원에 나선다.
먼저 성인학습자들에게 학비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이다. 학점을 적게 신청해도 똑 같이 학기별 등록금을 내야 했던 기존 방식이 아니라 ‘학점 당 등록금’을 납부토록 해 학습자 유치를 손쉽게 하는 방안이다. 특히 고졸 취업 후 대학 진학을 선택한 ‘후 진학자’에 대해서는 국가장학금도 지원한다.
평생교육단과대학을 설치한 대학은 현재 교육부 주도의 대학평가에서도 우대를 받을 전망이다. 학생 충원율이나 졸업생 취업률 평가에서 불리한 평가를 받지 않도록 별도의 평가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학사관리도 성인학습자 특성에 맞게 야간·주말과정이나 온라인 과정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한다. 또 학위과정이 아닌 학점과정 수업도 교수들의 강의시수로 인정해 전임교원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내년 평생교육단과대학 신설을 장려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10개 대학 정도를 선정, 선도 모델을 만든다. 이 같은 방안은 공청회 등을 거쳐 올해 말에 확정할 방침이다.
김재춘 교육부 차관은 “대학 내에 평생교육단과대학이 신설되면 지금까지 대학 부설로 존재하던 평생교육원이 대학의 정규 학사조직으로 편입, 교육의 질 관리가 강화될 것”이라며 “대학이 학령기 인구만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 아니라 성인학습자나 선 취업 후 진학자를 대상으로 교육하는 기관으로 체질을 바꾸는 ‘대학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장건섭 기자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