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학인은 장정(裝幀) 보기가 취미다. 교보문고에, 들려 신간(新刊)의 장정을 보는 것은 출판의 흐름 즉 경향(景香)을 알게 한다. 표지를 넘기다 보면 개성을 드러낸 저자의 사진을 보는 것도 꽤 흥미롭다.
교보문고 입구에는 노벨상 수상자 초상화 전(展)에서 담배를 물고 있는 카뮈의 그림도 의문을 품는다. 교육적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다는 뜻이다.
34년 전에 설립된 교보문고는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대산 신용호 창립자의 정신이 담긴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 공간이다. 종각 쪽에서 들어오면 횡보 염상섭의 좌상 뒤 돌판에 그 문구가 십계명처럼 새겨졌다. 교보의 노벨 수상자들의 초상은 우리 청소년과 젊은이들의 세계 최고의 석학들을 만나고 꿈을 키우게 하는 뜻을 담고 있다.
교보문고는 1992년부터 노벨상 수상자들의 초상화를 전시했다. 지난 2010년 리모델링 과정에서 그 초상화들이 사라졌다. 시민들이 아쉬움과 복원 요청이 잇따랐다. 교보문고는 시민의 여론을 부응하고 새로운 예술적 영감과 인문 정신이 깃든 예술 문화 공간으로 수상자의 전시공간을 다시 마련했다.
노벨 수상자의 초상화는 개성이 강한 화가들의 그림이다. 박영근, 이동재, 이인, 최석운 네 분의 저명한 화가들이 동참했다. 수상자 업적과 출신 지역 등을 고려하여 시민들의 투표로 선정된 노벨문학상 수상자 12명과 물리, 화학, 평화, 생리 의학, 경제 부문 수상자 10명의 얼굴을 네 분의 화가의 개성적인 시선과 화법으로 그려냈다.
한국은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노벨상을 수상 한 바 있다. 인문·과학부문에서 노벨상 수상은 우리의 오랜 꿈과도 같았다. 이는 세계 속에 한국이 인정받고 나아가 인류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겼다.
노벨상의 수상자 그림전에는 빈 곳이 하나 있다. 이 공간은 청소년들이 독서를 통해 자신의 역량을 키워 훌륭한 인재로 노벨상을 받는 주인공의 얼굴이 되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 염원의 노력이 모이면서 머지않아 미래에 비워둔 자리에 한국인 수상자가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교보문고에는 드물게 시집 코너가 있다. 예전에는 시집 코너가 지금보다는 더 큰 좌대를 가졌다. 근간에 다소 작아졌다. 시집을 구매하는 독자가 줄어들었다는 상징일 것이다.
소설 부분에는 시집 보다는 왕성하다. 학인은 독특하게도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小說家 仇甫 氏의 一日)>의 소설을 펴 들고 소설을 쓴 박태원(1909~1986) 씨의 머리가 왜 이렇게 바가지 머리냐고 웃는다.
소설가 박태원은 <기생충> 영화감독의 봉준호의 외할아버지다. 어머니의 아버지인 것이다. 봉준호 감독의 머리 모양을 보면 박태원 소설가의 머리 스타일이 짐작된다. 박태원의 머리는 심한 직모였다. 그에게는 바가지 머리로 관리하는 것이 편했다.
봉준호 감독의 머리도 외탁을 받아선지 직모의 머리다. 길게 길러 예술가의 모습을 보인다. 소설가 구보를 펴낸 박태원은 한국의 선구적인 모더니스트다. 그는 우리나라 동인의 태동으로 일컫는 ‘구인회’ 회원이다. 늘 옆에 노트를 끼고 다녔다. 서울 거리 일상을 노트에 기록했다.
'구인회' 발족 1년 만에 '신선한 그리고 또 예민한 감각'으로 단편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 바로 노트 속의 기록이다. 구보(仇甫)는 박태원의 호다. ‘거만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호에 주변의 친구들이 썩 달갑게 생각하지 않아 '높은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구보(丘甫)로 바뀌게 된다.
박태원은 할아버지가 높은 벼슬의 양반집에서 태어났다. 박태원이 태어날 당시 아버지는 서울 수중박골(현재 종로구 수송동)에서 약국을 경영했다. 숙부는 병원을 경영했다. 이렇듯 박태원은 유복한 집안에 어릴 적 한학을 익혔다. 유복한 박태원이 머리 스타일을 다양하게 고민을 했을 터다.
박태원은 신문화가 들어온 교차로의 시대에 살았다. 그가 그 머리를 고수한 것은 여러 환경을 보아도 그 머리가 최선이라는 주변의 공감이었다.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으로 아카데미상을 받고 기자가 물었다. 예술적 기질을 "외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는가" 봉 감독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라는 말을 했다. 아버지는 교수이며 1세대 그래픽디자인 분야에 종사하였다.
봉 감독의 가족 유전자에는 아무래도 독특하게 세상을 보는 시선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의 머리 스타일도 외할아버지의 유전자가 아닐까.
박태원은 이상, 김기림, 이태준, 정지용과 평생의 지우 관계로 지냈다. ‘구인회’는 이상 시인이 활자 세례를 받게 한 중요한 동인의 역할을 했다. 박태원은 노트를 끼고 다니며 청계천의 1930년대 풍경을 묘사한 <천변 풍경>은 학인에게 당시 모습을 알게 한다.
1936년에 발표한 소설 속에는 청계천 일대에서 아낙네들이 모여 빨래하는 풍경과 막 박동을 시작한 근대 도시의 풍물이 뒤섞인 장면이 그려진다.
박태원의 <천변 풍경>을 보면서 봉준호의 세태풍자를 그린 영화 <기생충>과 결을 같이해 본다. 박태원의 <천변 풍경>이 당시 세간의 화재였다면 <기생충> 또한 세계인의 화재를 갖게 했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평론가)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