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버지니아 울프와 정조대왕의 정원

  • 등록 2024.04.09 12:44:59
크게보기

고요가 살고 있는 한국의 정원…"신들의 발걸음 소리가 걸어 다닌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결의 뜻은 나무, 돌, 살갗의 조직을 말한다. 성격에도 결이 있다. 결이 같은 사람이 만나면 기분이 좋아진다. 결이 같으면 사물에 대하여 같은 결을 이야기하기 마련이다.

4월은 식목의 계절이다. 정원의 시간이다. 친구 송재구 회장과 창덕궁 궁궐을 걷는다. 역대 임금 중 가장 나무를 많이 심은 임금을 꼽는다. 기록에 나타난 정조 대왕은 나무를 1,200만 그루 이상 심었다. 정조는 능에 나무를 심어 정원의 형태로 꾸민 왕이다. 송재구 회장은 정조가 꾸민 능을 다음 주에 걸어보자 약속한다. 사람마다 심리적 결을 가진다.

정조에게는 나무에 대한 심리적 결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송재구 친구의 말이다. 아버지 사도가 뒤주라는 죽은 나무에 갇혀 죽은 것이 정조에게 심리적 트라우마로 작용할 수 있다. 송 친구는 전자업종의 경영자다. 송 친구의 정조에 대한 분석이 논리적이다. 맞겠다는 생각이 든다.

조선 왕조 500년에 역대 임금의 취미나 행적에 관한 기록은 비교적 상세하다. 정조는 강의를 좋아하고 술을 좋아했다는 자료가 많다. 신뢰하는 나무위키에도 정조 대왕의 식목에 관한 기록은 한 줄도 없다. 정조가 가까이한 장약용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는 "왕이 어느 날 필통에 술을 권하여 오늘 나는 죽었구나" 하는 내용이 있다.

하여간 정조는 술을 좋아한 왕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술을 좋아한 연유는 아버지 사도를 그리며 마음을 달래려 하는 술이 약이 되지 않았나 싶다. 송 친구와 그런 의미로 짠하고 건배를 한다. 꽃과 나무를 주제로 한 책은 독자의 호응을 받는다. 가장 많이 보급된 성경에도 꽃과 나무가 150여 종이 나온다. 공자가 제자와 심혈을 기울여 편집한 <시경>에도 나무와 꽃이 130여 종이 나온다.

시경의 첫 시에는 나무가 등장한다. 성경 다음으로 많이 보급된 책은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다. 어린 왕자에 등장하는 주제는 사막과 꽃, 별, 물이 나온다. 내용은 자연 안의 일들이다. 독자들은 어린 왕자가 사막에서 자연의 꽃, 별, 물, 달빛과의 대화가 신선하게 결이 맞았을 것이다. 우연하게도 독자가 부담 없이 대하는 저서들의 소재는 꽃과 자연이다.

시인 박인환이 '목마와 숙녀'에 이름을 올린 버지니아 울프는 시인이다. 울프는 정원을 아름답게 가꾼 시인이다. 한국에도 소개된 <버지니아 울프의 정원>이 있다. 울프는 22년간 영국의 남부 몽크스 하우스를 얻어 집을 고치고 정원을 가꾸었다.

책은 울프가 정원을 가꾸면서 "지금 이곳에서 삶이 얼마나 달콤한지, 규칙적이고 정돈된 생활, 정원, 밤의 내 방, 음악, 산책, 수월하고 즐거운 글쓰기"인 생활을 담고 있다.

책에 나오는 버지니아 울프의 책상은 기가 막힌 걸작이다. 그냥 책상이 아니다. 런던이나 에든버러에서만이 구할 수 있는 그런 책상이다. 뭔가 시가 나올 수 있는 책상이다. 개성이 넘치고 믿음직하고 묵직하고, 대단히 듬직한 책상이다. 셰익스피어의 책상이 도시형이라면 울프의 책상은 이웃의 친절한 아저씨의 인상을 준다. 버지니아 울프의 서재를 다녀온 사람은 많다. 책상에는 늘 많은 원고지가 놓여 있었다. 정돈되지 않는 책상이라 한다.

19세기를 대표하는 '에밀리 디킨슨' 시인이다. 1830년 보스턴 인근 애머스트에서 태어난 시인은 늘 진흙의 신발이었다. "나는 늘 진흙을 묻히고 다녔다"라고 할 만큼 정원과 숲을 누비며 자란 시인이다. 디킨스는 식물학을 배우면서 정원 가꾸기에 진심인 가족과 정원을 열정으로 가꾸었다. 400여 식물을 채집하였고 꽃이나 잎을 끼워 보낸 편지가 1000통이다. 자연을 소재로 포착한 시가 1700여 편이다.

체코의 국민 작가 카렐 차페크는 '정원 가의 열두 달'에서 "인간이 손바닥만 한 정원이라도 가져야 한다. 우리가 무엇을 딛고 있는지 알기 위해"라고 말한다.

우리는 모네의 정원 그림을 마음의 안식으로 여긴다. 모네의 정원은 정작 가보지 않았지만 마치 한번은 다녀온 정원처럼 친근함을 느낀다. 외국인들이 한국의 역대 임금이 묻힌 능을 걸어보며 '신들의 정원'이라 한다. 종묘의 정원을 바라보는 외국의 건축가들은 "한번 오고 두 번 오지 않는 건축가는 건축가가 아니다"라는 극찬을 한다. 어느 외국 건축가는 종묘를 보고 가족 모두와 다시 왔다. 한국의 정원은 고요가 살고 있다. 신들의 발걸음 소리가 걸어 다닌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