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망설이는 능력이 배움의 기술'

2023.06.05 19:14:10

"때로는 모호성과 '뜬구름 잡는 말들'이 소중할 때도 있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요즘처럼 시 쓰기가 겁이 나는 경우가 있다. 내 안의 절실함을 이끌어.내는 순간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시는 애초부터 소수 지식인 사이에서 벌어지는 논쟁의 결과물도 아니다. 무기력한 상태에 빠지지 않기 위함과 청정(淸正)하게 사는 법을 일깨우는 일이다.

시도반은 시집 <시원의 입술>을 펴내고 주변 선후배에게 시집을 올리며 '청정'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옛 선비들이 그림이나 서예 글을 받아들고 답례의 선물을 한다. 편지에는 청정이라고 썼다. 선생님께 가장 바르고 깨끗하게 올린다는 뜻이 들어 있다. 이렇듯 옛 선비들은 선물을 주고받으며 진실함을 선물하려 했다. 선비가 올리는 선물은 뇌물도 아니고 아부도 아니다. 오직 마음의 정성이다.

교직에 있는 후학과 막걸리 한잔을 한다. 서울 성북천 근처에 굴렁쇠라는 뒷 고깃집이다. 삼겹살 값이 많이 올랐다. 굴렁쇠 집은 옛 가격을 유지한다. 가난한 시인들이 가기에는 그나마 부담이 적다.

후학은 막걸리 한잔을 걸치며 특유의 교수티를 낸다. 교육은 쓸모 있는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내 안의 가장 빛나는 힘을 끌어내는 것이라 한다. 시를 쓰는 후학의 교수기에 시를 쓰는 지론과도 다르지 않다. 최고의 스승은 미주알고주알 주입하려 하지 않는다. 스스로 깨닫게 만든다. 무엇이 너의 가슴에 눈뜸을 가로막는 것인지, 무엇이 너의 가슴이 피어나는 날개를 펴지 못하게 꺾고 있는 것인지!

후학은 막걸리가 들어가며 진리의 교실을 만든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요즘의 돌아가는 세상의 이야기를 입에 올리지 않는 것이 천만다행이다 싶다. 종교가 정치가 제 몫을 다하지 않는 세상이기에 뜻하지 않는 폭탄을 대화의 소재로 삼는 친구가 술자리를 싸하게 만들기도 한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모피어스가 네오를 가르치는 장면은 멋진 스승의 모범답안을 보여준다. 가상세계에서 스파링 프로그램 활용법을 가르치면서 모피어스는 네오의 능력을 시험한다. 네오는 재빠른 센스로 정보를 깨닫지만 자기 안의 의심을 떨쳐내지 못한다. 네오는 모피어스에게 패배하는 것은 모피어스가 빠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차 이야기가 너무 심각하거나 영화의 이야기가 지루해 진가 싶다. 깨닫는 것은 마음을 풀어가는 것의 철학과도 일치함을 이야기하려는 것이 다소 옆길이 되었다.

"그래, 네 마음을 풀어주는 거야. 나는 문까지만 안내할 수 있지. 그 문을 나가는 것은 네가 직접 해야 해. 모든 걸 버려, 두려움, 의심 불신까지. 마음을 열어."

영화의 대사를 무심하게 옮기지만 영화의 대사가 오늘의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로 보인다. 교육이 성공과 출세를 향한 도구가 된 것은 오래된 이야기다. 교회가 내세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헌금에 중심이 되어버렸다. 정치가 국민을 화합하거나 경제와 마음의 문을 열어주는 것이 아니라 불신을 심어주는 세상이 되어버린 지 오래다.

하지만 우리는 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결코 진정한 배움을 경험하도록 나아가는 것이다. 부정을 날려 보낸다. 분노를 위하여 기도거나 참회한다. 성공하고 출세하는 것을 넘어서 우리 안의 열망을 일으켜 세우는 것이다. 우리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깨달아 나아간다. 나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간다. 이미 나에게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가야 한다.

시도반은 황금찬 시인이 살았던 우이동 집을 간혹 지나친다. 선생님은 무엇이 그를 문학으로 이끌었는지를 몸소 배우게 한 분이다. 황 선생님을 40년이 넘게 틈틈이 시간을 같이하였지만, 정치와 종교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선생은 시에서 정치, 종교 이야기를 금하는 것을 강조했다.

만약 하려거든 기름종이에 기름 배듯 하라는 것이다. 조심의 의미를 매우 신중하게 가르친다. 요즘 104세를 사는 김형석 철학자와는 반대의 견해로 보인다. 물론 황금찬 선생이 기준이라는 것을 말하지 않는 것도 현명하다. 다만 시인에게는 '망설이는 능력도 필요한 배움의 기술'이라 말하지 않나 싶다.

우리는 나이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고, 거리를 알 수 없는 별들에 둘러싸여서 우리가 확인할 수 없는 물질로 가득 채워진 채로 우리가 제대로 이해할 수 없는 세상 속에 살고 있다. 그러기에 황금찬 시인처럼 망설이는 능력을 길러가는 것이 시인의 자세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때로는 모호성과 '뜬구름 잡는 말들'이 소중할 때도 있다.

최창일 시인('시원의 입술' 저자).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