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등신불과 박은빈이 꿈꾸는 세상'

2022.10.19 14:44:25

"지도자가 철학이 없는 가운데 움직여지고 있다면 희랍신화의 비극보다 더한 비극"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생각 놀이 하나 해볼까 한다. 생각이란 호도처럼 생긴 뇌 속에 깊이깊이 감추어진 비밀의 센서다. 그 센서 속의 비밀을 모르는 것은 당연하다. 생각도 시시로 바뀌기 때문에 나도 나를 모르겠다는 말을 한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출연했던 박은빈 배우의 말을 듣고 그 '생각'이라는 것이 '아하 이것이로구나' 정리되는 듯싶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출연하기까지 많은 고민 했어요. 역할의 어려움을 떠나 감당해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스스로에 고민하였지요. 과연 연기해도 되는 것일까?"라는 고민을 했다고 말한다.

미디어를 통한 영향력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것은 현실이다. 박은빈 배우는 '자폐아' 연기를 통한 올바른 영향력을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확신이 필요했다. 누군가에, 상처를 주고 싶지 않았던 배려심이 배우를 망설이게도 했다. 결정의 기간이 1년이 걸렸다. 작품을 마주하는 배우의 진중함에 시(詩)도반은 깊은 생각에 잠겼다. 생각 놀이 한번 해보자는 시도반이 가벼이 여겨졌다.

박은빈은 '무조건적'인 배우의 길을 계속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었다고도 했다. "현재 시점에서 한 우물을 판 것 같지만, 저는 꼭 이걸 해야겠다든가. 이런 적은 없었어요. 언제든 상처를 받거나 그러면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내 기반을 잘 쌓아나가야겠다는 생각을 가졌던 같아요"라고 했다.

배우는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고 싶었다. 항상 제 안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게 꾸준할 수 있었던 비결이었다고 말한다. 아역 시절부터 매니저 역할을 하여준 어머니 교육의 영향도 컸다. 서강대학교에서 심리학 신문방송학과를 전공한 내면이 읽힌다.

박은빈 배우의 말을 들으면서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이 머리를 스친다. 소설은 소신공양(燒身供養)에 깃든 고뇌를 그린 이야기다. 소신공양이란 살아 있는 사람이 고행 정진의 뜻으로 몸에 기름을 바르고 분신하는 것이다. 법으로는 임금의 허락이 전제되기도 한다. 소설에 나오는 <등신불>은 육신을 그대로 보존하는 '육신불'인 것이다.

소신공양은 몸을 태워 형상을 남기지 않는 것이라면, 등신불은 타다가 굳어진 몸에 금을 씌운 것이다. 등신불의 불상을 대하는 사람들은 인간적인 고뇌의 슬픔이 서려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김동리 소설의 등신불, 배우 박은빈을 보면 시도반의 결은 한없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 버렸다. 현실이다. 지도자가 철학이 없는 가운데 움직여지고 있다면 희랍신화의 비극보다 더한 비극이다. 전 전 대통령을 향한 폄훼로 정치판은 시끄럽다. 그를 총살해야 한다는 ’극단‘자도 나왔다.

그 시끄러움의 페이지는 무엇을 기록할 수 있는지, 질문하게 한다. 김동리 소설 속의 등신불(等身佛)을 등신불(等神佛)로 해석하고 싶다. 김동리 소설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가 아니라 짧은 지면에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다. 지도자는 희망을 그리며 건네주는 것이다. 허망함을 내미는 지도자라면 그 무대에 머물 필요도 없다.

박은빈 배우가 연기를 통하여 영향력을 주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1년을 고민하듯, 더더욱 통치자는 고민의 칼날 위에서 현명해야 한다. 통치 철학을 모르고 위치에 오르는 것은 악(惡)이다,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은 아칸소주에서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을 지냈다. 그는 대통령의 꿈을 이루는 것은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으로서는 그 무게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른다.

세계사와 미국 역사를 둘러보아도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의 경력으로 대통령이 된 경우는 없었다. 주지사를 통하여 행정과 통치의 경륜을 쌓아 갔다. 클린턴은 교육열이 낮은 아칸소주에 교육열을 높였다.

그것은 클린턴에게 지도자의 자산이며 국민의 지지를 받는 힘이 되었다. 미국 제42대 대통령이 되었다. 성 물의를 빼면 그는 희망을 준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바람직한 역사는 준비 없는 존재를 기억하려 하지 않는다. 위치의 무게를 모르는 것은 아이와 같다. 드물게 수상(授賞)을 거부하는 사람을 본다.

스스로가 상을 받을 위치가 아니라는 겸양의 우러름이다. 세상은 낮은 자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겸손은 뇌가 만드는 섭리다. 뇌는 자기가 보았던 것의 판단을 한다. 거짓을 보았던 뇌는 거짓말에 익숙하다. 뇌는 처음 본 것들에 의하여 뇌의 길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지도자는 뇌의 길에 겸손과 희망의 길이 있어야 한다. 그 익숙한 희망은 5천만, 지구인까지 영향을 미치게 한다. 타오르는 불길에 희망을 들고 뛰어들 등신불을 찾는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