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김정현 기자 =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장남이 필로폰 투약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국제우편과 항공여행자를 통한 마약 밀반입이 기승을 부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심재철 자유한국당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마약류 적발 건수는 모두 382건, 총 중량은 50,036g에 달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887억원에 이른다.
지난해의 경우 반입경로별로는 국제우편을 통한 적발이 모두 24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항공여행자를 통한 반입이 63건, 특송화물을 활용한 반입도 60건 적발됐다.
국제우편의 경우 올해 상반기에만 이미 중량(17,955g)과 금액(329억원) 모두 작년 1년치(15,712g, 187억 원)를 넘어서 국내 마약 반입을 막기 위해서는 국제우편 단속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해 통계로는 국제우편을 통한 마약 적발 중량 및 금액이 전년 대비 각각 69%와 2,337% 증가했다. 항공여행자를 통한 마약 적발 중량 및 금액은 각각 93%와 63% 증가했으며 특송화물의 경우 중량은 4.7% 증가했지만 금액은 62% 감소했다.
직구를 통한 마약 밀반입에 대해 최근 정부가 대규모 단속을 벌인 결과 올해 6월까지 특송화물을 통한 밀반입 적발 건수는 급감한 반면, 국제우편을 통한 밀반입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심 의원은 “국제우편, 항공여행자 및 특송화물을 통한 마약류 적발건수가 급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들의 비중이 전체의 90%가 넘어 개인소비용 마약 밀수가 유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소량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한 밀반입이 시도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도별로 적발된 마약은 2012년 259건(33,757g), 2013년 294건(46,438g) 2014년 339건 (71,691g), 2015년 358건(91,597g)이었다.
심 의원은 “해외여행이 보편화되고 유학생,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신종 마약의 유입이 증가하는 등 밀수 루트와 신종마약 종류가 다양하게 진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특히 마약에 하늘이 계속 뚫리고 있는 만큼 단속기관인 관세청과 경찰청의 체계적인 마약근절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