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박정희 동상 광화문광장 건립은 불가...취지 어긋나”

  • 등록 2016.11.04 21:49:21
크게보기

"2009년 이후 고정 조형물 인정 없어…국민적 합의 전제돼야 가능"
민주당 “광화문광장에 박정희 동상? '혼이 비정상'임이 틀림없다"
노회찬 “광화문 지하 100m에 그 동상을 묻는 조건이라면 찬성”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 2일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위원장 정홍원 전 총리)가 서울 광화문광장에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동상을 건립하겠다고 밝혀 논란을 빚은 가운데 서울시가 불가 방침을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4일 "기본적으로 광장은 비우고 개방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2009년 조성된 이래 새로운 고정 조형물을 설치한 것은 한 번도 인정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상이라는 것은 광화문광장의 상징성과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논의돼야 하므로 국민적 합의가 전제돼야 가능하다고 판단 된다"며 "이게 원칙적인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박정희 동상은) 광화문광장의 근본을 건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처리될 것은 아니다"며 "추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이 들어온다면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를 통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김정태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관리위원장도 "광화문 광장은 국가 상징 거리이기 때문에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 동상만 들어가 있는 것"이라며 "광화문 광장이 북한 김일성 광장도 아니고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세워 신격화하겠다는 것에 수긍하는 서울 시민은 단 한 사람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도 이날 이에 대해 "친일과 독재를 미화한 국정교과서를 만들고 탄생 100주년 기념우표를 만들겠다는 것도 부족해 동상을 세우겠다니 '혼이 비정상'임이 틀림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유송화 민주당 부대변인은 이날 '광화문 광장에 박정희 동상? 국민 분노에 기름 붓는 격'이란 제목의 논평을 통해 "구미시가 1356억을 들여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기념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어이가 없지만 서울 광화문광장에 동상을 세우겠다는 발상은 제 정신으로는 이해가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부대변인은 "지금은 박근혜 대통령이 '최순실 국정농단'의 몸통으로 (지목돼) 수사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정부의 정책, 학교의 입시, 심지어 기업경영에까지 사적 이익을 위해서 난장판을 쳐놓은 것이 다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진선미 민주당 의원도 지난 3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새마을과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에 2009년부터 2017년까지 4500억 원이 들어갔다”며 “4년간 투입된 예사만 해도 2600억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어떤 아이들은 생리대가 없어서 신발 깔창으로 하고 있는 이 형랑에 4년 내내 수천억을 들이고 있고 어제는 광화문광장에 동상을 세우겠다고 하는 게 이 나라의 현실이다”라고 지적했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도 지난 3일 오후 방송된 YTN 라디오 ‘최영일의 뉴스 정면승부’에출연 “참 어이가 없는 제안”이라며 “광화문 지하 100m에 그 동상을 묻는 조건이라면 찬성할 수도 있겠다”고 밝혔다.

이어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를 역사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묻자 노 원내대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박근혜 현 대통령을 구하지 못할 것으로 본다”면서 “지금 지지율이 보여주듯 박정희 평가와 별개로 박근혜 대통령의 실정은 확인되고 있다고 본다. 이 기회에 공과 과를 분명하게 구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나라 민주주의에 끼친 해악 같은 것을 사적인, 인간적 감정으로 포용하다 보니까 그것이 자신에 대한 역사적 정당성으로 오인돼 수많은 잘못된 통치 행위를 하는 출발점이 되고 있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2일 박정희 대통령 기념재단은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추진위 출범식을 열고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범국민 모금운동을 펼치겠다는 계획을 밝혀 거센 비판 여론이 일었다. 내년은 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이다.

이날 출범식에는 한광옥 신임 대통령 비서실장 내정자, 정홍원 전 국무총리, 김기춘 전 비서실장 등 박근혜 정부의 전현직 고위관료들이 대거 참석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국가보훈처의 대형 태극기 설치 계획에 대해서도 "영구적 설치는 안 된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