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인보다 더 조선을 사랑했던 일본인'이라는 별칭이 따라다니는 소다 가이치(1867-1962)는 일본 야마구치(山口)현 출신으로,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일본인 선교사이다.
1905년 조선에 정착한 그는 영어 교사였던 우에노 다키(上野タキ)와 결혼한 뒤, 1921년부터 가마쿠라(鎌倉) 보육원을 운영하며 평생을 조선인 고아들을 돌보는 데 전념했다. 또한 감옥에 갇힌 독립운동가들의 석방을 위해 힘쓰는 등 '양심적 일본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인생 전환점은 대만에서 방황하던 시절, 어느 조선인 낯선이에게 생명의 은혜를 입으면서 시작된다. 당시 만취해 길에 쓰러져 있던 소다를 조선인이 업고 여관에 데려가 숙박비와 약값까지 마련해주고 떠났던 것이다. 그날 이후 그는 "조선을 위해 살아야겠다"는 다짐으로 방탕한 생활을 청산하고 조선 땅을 밟는다.
이후 그는 월남 이상재 선생의 전도로 기독교인이 되었고, 일생을 조선의 아이들과 함께했다. 소다 가이치 부부는 한국 양화진 선교사 묘역에 잠든 유일한 일본인이며, 그의 업적을 기려 한국 정부는 일본인으로는 최초로 문화훈장을 추서하였다.

박희주 작가는 이어 "조선을 위해 살다간 일본인, 그리고 그의 삶에 감동한 우리 모두가 이 시대의 새로운 화해와 공존의 길을 상상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책을 출판한 평화누리협동조합은 <대한 일본인 소다 가이치> 외에도 강태욱 이사장의 <이것저것 내 맘대로 쓴 글>을 비롯해,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 기획 소설로 <타니안섬의 스티브 박>, 시베리아 벌목공의 탈북 서사, 구한말 및 일제강점기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삶을 다룬 연작 등을 출간할 예정이다.
박희주 작가는 전북 임실 출신으로 전북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작(詩作) 활동을 하다 <월간문학> 신인작품상에 중편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가 당선되어 소설계에 입문했다.
대표 저서로는 시집 <나무는 바람에 미쳐버린다>, <네페르타리>, 소설집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 <이 시대의 봉이>, <절벽과 절벽 사이를 흐르는 강>, 장편소설 <사랑의 파르티잔>, <안낭아치> 등이 있으며, 한국소설문학상, 박종화문학상, 부천시문화예술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소설가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문협70년사 편찬위원장, 수주문학상 운영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