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게 죽는구나.'
눈길을 피한 채 자포자기한 마음으로 고개를 돌렸다. 길 한쪽에 생선처럼 손발이 묶인 채 머리를 땅에 처박고 있는 또래 청년들이 보였다. 그때였다. 버스 문 앞에 앉아 있던 여든은 족히 넘어 보이는 할머니가 갑자기 통곡하며 울부짖었다.
"그만해! 그만들 좀 해, 이놈들아!"
할머니는 같은 말을 반복하며 흐느꼈다. 그 순간이 없었다면 우리는 어찌 되었을까. 버스는 천천히 도시를 벗어났다. 5월의 들판은 푸르고 평화롭기만 했다. 그러나 어둠이 깔려 가는 도로 위에서 나는 목이 메었다. 죽음에서 벗어난 안도감 때문이 아니었다. 추풍낙엽처럼 휩쓸려 좁은 거리 위를 달리던 그들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12.3 계엄 선포로 시작된 혼란이 116일째 이어지고,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을 기다린 지도 벌써 100일이 지났다. 다음 달 18일, 두 명의 헌법재판관이 퇴임하면 심판 정족수가 7명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탄핵 정국이 끝나지 않은 채 사회 혼란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안국역 사거리를 사이에 두고 시민들은 분열되고 있다. 경제 만큼이나 사람들의 불안감도 요동친다. 더 이상 지켜볼 인내조차 남아 있지 않다. 그날, 할머니의 절규가 우리를 지켰던 것처럼 이제는 우리가 다음 세대가 마음 놓고 살아갈 수 있도록 외쳐야 한다.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가장 먼저 희생되는 것은 사회적 약자이며, 여성도 예외가 아니다. 독재와 권위주의 체제에서는 여성의 삶이 심각하게 제약된다. 가부장적 질서가 강화 되면서 여성의 정치·경제적 자율성은 약화되고, 성평등 정책은 후퇴하며, 사회 진출의 기회가 줄어든다. 그 결과, 남성 중심의 구조는 더욱 공고해지고 성평등은 공허한 구호로 전락할 위험에 처한다.
국가 폭력이 정당화되는 환경에서는 여성들이 성폭력과 억압의 대상이 되기 쉽다. 우리는 이미 그러한 무자비함을 뼈저리게 경험했다. 1980년 광주에서 한 할머니의 외침이 청년들을 구했던 것처럼, 지금 우리도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싸워야 한다.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은 곧 여성 자신의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길이기 때문이다.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사)국제PEN한국본부, (사)한국현대시인협회, 국제계관시인연합 한국본부(UPLI-KC) 등에서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울림>과 <문학의 뜨락> 등 동인지에 작품을 기고하고 있다. 올해부터 세종여성플라자 새봄기자단과 뉴스피치 시민기자로도 활동할 예정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