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교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오늘부터 당은 선대위 체제로 운영된다"면서 "제가 직접 총괄선대위원장으로서 깃발을 들겠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일부 책임 잇는 분들이 당의 결정에 불복하면서 이탈하고 있다"며 "총선 승리라는 국민 명령의 불복으로 절대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역을 수시로 옮기면서 명분을 찾는 모습은 정치 불신만 더 키울 뿐"이라고 덧붙였다.
황 대표는 "밀실 공천, 줄세우기 공천 이런 공천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혁신 공천의 씨앗을 심고자 저는 공관위의 독립성을 적극 보장해 왔다"면서 "공관위도 지역 여론, 자유민주주의의 가치, 그 것을 더 높이 헤아려 이기는 공천의 길도 살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황 대표는 "앞으로 중앙당과 시도당은 선거때까지 비상체제로 운영된다"며 "모든 당직자들은 (문재인 정권) 심판을 위해서 국민과 역사앞에 책임을 진다는 엄중한 자세로 임해달라. 저 역시 혼신의 힘을 다해서 앞장 서 뛰겠다"고 강조했다.
통합당의 일부 공천결과에 문제를 제기한 김종인 전 대표는 공동선대위원장체제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며 선대위원장 제의를 거절했다.
김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측근인 최명기 전 의원의 페이스북을 통해 "저는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의 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할 입장문을 의사가 없음을 밝힌다"는 입장문을 냈다.
김 전 대표는 "통합당 내부 사정이 복잡해지면서 황교안 대표가 여러 명의 선대위원장이 나서는 공동선대위체제를 다시 이야기했고 저는 '그렇다면 굳이 나를 영입하려는 이유가 뭔지 알 수가 없다, 여러분들이 합심해서 잘 하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던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저는 지난 정부와 현 정부의 등장에 일익을 맡았다는 점 때문에 국민께 미안한 마음이 있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다"면서 그래서 이번 총선에선 분출되는 국민의 마음이 선거에 잘 반영돼 이 나라의 민주주의가 회복되고 코로나 사태로 더 어려워진 경제가 살아날 수 있도록 마지막 노력을 다해보려 했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통합당의 당내 사정이 도와줄 여건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