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저널 2025 가을문학기행…물안개 속 문학의 숨결, 청송에서 피어나다

  • 등록 2025.11.01 17:47:01
크게보기

'시간이 멈춘 저수지' 주산지부터 김주영·이육사 문학의 길 따라 30여 문인 한마음으로
"객주문학관에서 김주영 작가와의 만남 속에서 문학의 본향을 묻다"


(청송·안동=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깊어가는 가을,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에 짙은 물안개가 드리우자, 한국문학의 숨결이 고요히 피어올랐다.

2025년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1박 2일 일정으로 진행된 문학저널 가을문학기행은 '문학의 뿌리를 따라 걷는 시간'이라는 주제로 청송과 안동 일대를 탐방했다.

최외득 문학저널 문인회 회장, 박지연 발행인, 김성달 편집주간, 김석구 사무국장을 비롯한 전국에서 모인 문학저널 문인협회 30여 명의 회원이 참가해, 발로 밟는 현장 속에서 문학과 삶의 교감을 나누었다.

주산지 물안개 속, 문학의 아침이 열리다

문학기행단은 서울 압구정에서 출발해 의성휴게소에서 점심을 마친 뒤, 오후 늦게 청송 주왕산면 주산지에 도착했다.

'시간이 멈춘 저수지'라 불리는 주산지는 수면 위로 나무 그림자와 돌 하나마다 시의 한 행이 깃든 듯한 신비로운 풍경을 자아냈다. 아침에 피어 올랐던 물안개가 산자락과 호수 위로 드리우자, 참가자들은 자연이 만들어낸 '임시 서정'을 스마트폰과 카메라에 담았다. 그 즉시 각자 즉흥 디카시를 쓰며, 시적 감각을 현장에서 시험하는 시간도 이어졌다.

청송정원 산소까페에서는 청송 사과로 만든 따뜻한 티를 나누며 지역의 향과 맛을 느꼈다. 산뜻하게 달콤한 사과향과 커피잔의 김이 섞인 공기 속에서, 문인들은 자연과 인간, 기억과 상상을 연결하는 순간을 경험했다.

김주영 작가와의 만남, 문학의 본향을 묻다

문학기행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청송 객주문학관 방문이었다. 문학기행단을 맞이한 이는 한국 리얼리즘 문학의 거장, <객주>의 작가 김주영(88) 선생이었다.

김 선생은 "청송은 제 문학의 근본이자, 제가 세상을 배우고 인간의 냄새를 기록한 곳"이라며, "문학은 결국 사람의 마음과 땅의 이야기를 어떻게 살려내느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작가의 말에 깊은 공감을 표했다.

최외득 문학저널 문인회 회장은 "한국 리얼리즘 문학의 산증인 김주영 선생을 직접 만나 뵌 것은 큰 영광"이라며 "이곳 주산지와 객주문학관이야말로 우리 문학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자리"라고 소감을 전했다.

문학기행을 주관한 박지연 <문학저널> 발행인 대표는 "문학의 현장을 직접 찾아가 함께 호흡할 때, 종이 위의 시어는 살아 움직인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문인들이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 문학의 뿌리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김성달 <문학저널> 편집주간은 "문학은 장소와 사람이 만나서 완성된다"며 "오늘 주산지의 물안개, 객주문학관의 공기, 그리고 김주영 선생의 목소리가 한 편의 소설처럼 오늘 하루를 만들어 주었다"고 말했다.

김석구 사무총장은 "문학기행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다. 문학을 통해 세상을 다시 보는 여정"이라며 "참가 문인 모두가 다시 펜을 들 용기를 얻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동 이육사문학관, 저항과 시의 정신을 마주하다

11월 1일, 기행단은 아침식사 후 숙소를 나서 도산면 백운리 이육사문학관으로 향했다. 고즈넉한 산자락 아래 자리한 문학관은 이육사 시인의 '청포도'와 '광야' 정신을 품고 있었다. 참가자들은 그의 시를 낭송하며, 시대를 넘어선 문학의 사명과 저항정신을 되새겼다.

이후 점심은 안동 예끼마을 선비촌에서 나누었다. 고즈넉한 마을 풍경 속에서 전통적인 점심을 함께하며, 문인들은 서로의 창작 세계를 공유하고, 시와 소설 속 장면을 실제 풍경과 겹쳐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회곡양조장에서 전통주 숙성의 향을 맡으며, 문학과 삶, 향과 맛이 함께 어우러지는 '풍류의 마무리'를 경험했다.

청송을 배경으로 한 디카시 공모, 김성달 소설가 최우수상 수상

이번 기행에서는 '청송의 빛과 숨결'을 주제로 한 디카시 공모전도 진행됐다. 주산지, 객주문학관, 청송정원 등에서 촬영한 사진과 시를 심사한 결과, 김성달 편집주간(소설가)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물안개 속에서 피어난 존재의 울림을 절제된 언어로 담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최외득 회장은 "문학저널은 앞으로도 지역 문학 현장을 직접 찾아가는 기행 프로그램을 정례화하여, 문학의 뿌리와 현장을 잇는 교류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물안개처럼 피어나는 시, 그 속에 우리의 마음이 있었다

이번 청송·안동 문학기행은 단순한 답사가 아니라, ‘문학의 본향으로 돌아가는 순례’였다. 참가자들은 물안개가 걷히듯, 문학의 길 위에서 각자의 언어를 조금씩 맑게 하고, 새로운 시적 영감을 얻었다.

한 참가자는 "주산지의 물안개 속에서 바라본 나무와 호수, 그리고 김주영 선생의 말씀 속에서 문학의 뿌리를 다시 확인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 "이육사 시인의 시를 낭송하며, 저항과 자유, 시인의 마음을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며 "문학은 결국 우리 삶을 조금 더 깊게 바라보게 하는 힘"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박지연 <문학저널> 발행인 대표는 "문학의 현장을 직접 찾아가 함께 호흡할 때, 종이 위의 시어는 살아 움직인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문인들이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 문학의 뿌리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최외득 <문학저널> 문인회 회장은 "청송과 안동은 자연과 문학, 역사와 정신이 함께 흐르는 곳"이라며 "이곳에서 얻은 감동이 향후 문인들의 작품 속에 아름답게 녹아들길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한 김석구 사무국장은 "문학기행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잇는 다리"라며 "앞으로도 <문학저널>은 문학인 간의 연대와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학저널>은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 문학기행을 개최해 전국의 문인들과 함께 문학의 현장을 탐방하고 있다.

올해 가을 문학기행은 '길 위에서 만난 문학의 향기'를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주산지의 물안개처럼 아련하고, 이육사의 시혼처럼 뜨거운 시간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문학저널 가을문학기행은 한국 문학의 뿌리와 현장을 이어주는 장이자, 작가와 독자, 그리고 자연과 인간이 교차하는 시간이었다. 물안개가 걷히며 드러난 호수와 산, 그리고 문학의 숨결 속에서 참가자들의 마음은 한층 더 풍요로워졌다.

문학저널 가을문학기행 참가자는 귀로 길에 공동 메시지를 전했다.

"물안개처럼 피어나는 시, 그 속에 우리의 마음이 있었다.”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