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8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이후 국회 정론관을 찾아 브리핑을 통해 “추 대표가 국민 대통합 차원에서 전 전 대통령과의 만남을 추진했으나 적절하지 못하다는 최고위원회 의견을 존중해 일정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추 대표는 12일 오후 3시께 서울 연희동에 있는 전 전 대통령의 자택을 찾아 만날 계획이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당은 발칵 뒤집혔다.
송영길 의원은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추미애 대표 전두환 예방 사실무근이기를. 대한민국 대법원이 판결한 헌정찬탈, 내란목적 살인범을 전직 대통령으로 인정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질타했다.
박홍근 의원 역시 "답을 못 찾겠다. MB(이명박 전 대통령)은 예방을 안 한다니 전직 대통령 예우 차원은 아니고 대선 위한 동진이나 국민화합 차원이라면 하필 전 국민의 지탄을 받는 그 분이 왜 먼저일까"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호남 특보인 김성주 전 의원도 SNS에 "추미애 대표께서 전두환 방문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이승만 대통령 묘소를 참배한 것처럼 국가원로를 찾는다는 것"이라며 "'죽은 독재자'에게 예를 갖추는 것과 여전히 반성을 하지 않는 '살아있는 독재자'를 찾아가는 것은 전혀 다르다. 이건 유연도 아니고 화합도 아니다"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또 다른 호남특보인 신정훈 전 의원도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우리당 대표가 다양한 생각과 경륜을 가진 정치적 원로를 예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전 전 대통령이 우리가 정치적 원로로 찾아봬야 할 이유와 가치는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당 대표가 개개인을 만나는 것에 대해서는 당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없지만 전 전 대통령을 정치 원로 측면에서 만나는 것은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변인은 기자들로부터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적절하지 않아 반대했나'는 질문을 받았지만 "여러가지 영향을 우려했다"는 식으로 에둘러 표현할 뿐 직접적인 답변은 피했다.
윤 대변인은 추 대표가 최고위와 상의 없이 전 전 대표와의 만남을 계획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최고위원과 상의를 하기 전에 보도가 먼저 됐고, 의논을 한 결과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 많아 수용한 것”이라며 “전 전 대통령 측에는 따로 연락을 드리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고위가 열리기 전 추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전두환 전 대통령 예방에)그렇게 큰 의미를 부여하지 말아 달라. 돌아가신 대통령에는 묘소에 갈 수밖에 없는 것이고 살아계신 대통령에는 계신 곳을 방문하는 것”이라고 취지를 밝힌 바 있다.
i24@daum.net